세금계산서(稅金計算書)
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법규정에 의해 교부하는 증빙서류로서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이 반드시 별도로 구분표시 되어 있습니다. 또한 공급하는 사업자의 등록번호와 성명, 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작성연월일은 반드시 기재되어야 하며 그 외의 기재사항(업태와 종목, 공급연월일, 단가와 수량 등)을 누락하더라도 세금계산서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이러한 세금계산서는 일반과세자만이 발행할 수 있으며 간이과세자나 면세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였음을 증명하는 영수증으로서 매입세액을 공제받기 위해 꼭 필요한 핵심 서류입니다.
계산서(計算書)
계산서는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에 의해 교부하는 증빙서류로서 부가가치세액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공급가액만 표시합니다. 따라서 세금계산서와는 달리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는 증빙서류가 되지 못합니다. 계산서를 교부할 수 있는 자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면세사업자만에 국한되며 과세사업자가 면세사업을 겸영하는 경우 면세사업에 대해서는 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영수증(領收證)
영수증은 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와 부가가치세액을 별도로 기재하지 않는 증빙서류입니다. 따라서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금액을 영수증에 기재하며 부가가치세를 신고할 때 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흔히 간이 영수증이라 부릅니다. 영수증을 교부할 수 있는 자는 간이과세자이거나 또는 일반과세자 중 소매업, 음식점업, 숙박업처럼 주로 사업자가 아닌 소비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들입니다.
'생활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기결산(Quarterly Closing)" (0) | 2013.03.15 |
---|---|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란?" (0) | 2013.03.15 |
"과세비대상,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소액부징수란?" (0) | 2013.03.15 |
신용카드 매출전표 등의 매입세액 공제신용카드 매출전표 등의 매입세액 공제 (0) | 2012.07.27 |
면세사업자와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의 구분 (0) | 201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