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 용량과 전선의 굵기는
일반부하(히타나 전등 또는 기동전류가 미약한 기계류) 와
전동기 부하(기동전류가 큰 모터류)에 따라서 설정값이 다릅니다.
1.차단기용량 선정시 여유계수를 정격전류에 1.1~1.3배는 일반부하의 경우이고
부하전류 < 차단기의 정격전류(AT) < (전선의 )허용 전류 의 관계입니다..
만약 일반부하전류가 19A라면
19*1.25(안전율)=23.75이므로 차단기는 30AT를 선택.
부하전류(19)<차단기의 정격전류(30AT)<전선의 허용전류가 30A 이상인 전선을 선택합니다..(2.5SQ이상)
일반부하일 경우에는 반드시 차단기의 정격전류보다 큰 허용전류의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2.에어콘은 전동기가 들어가기에 차단기용량을 정격전류보다 2.5~3배정도 큰것으로 선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내선기준에 의한
전동기회로 간선용 차단기의 선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하의 종류
(IL : 전동기 이외의 부하전류,
IM : 전동기의 부하전류
전선의 허용 전류 : IW ,
차단기의 정격전류 : Ib
ΣIM>ΣIL,
ΣIM≤50A의 경우 IW≥1.25ΣIM+ΣIL
ΣIM>ΣIL,
ΣIM>50A의 경우 IW≥1.1ΣIM+ΣIL
식1) Ib≤3ΣIM+ΣIL
식2) Ib≤2.5IW
Ib≤3ΣIM+ΣIL 의 값이 허용전류(IW)의 2.5배의 값이내에는
Ib≤3ΣIM+ΣIL 의 값으로 선정하고
허용전류(IW)의 2.5배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Ib≤2.5IW를 적용를 적용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전동기일 경우
부하전류(전동기의 운전전류)<전선의 허용전류<차단기의 정격전류(AT)
의 관계입니다...
위의 표를 근거로 전동기의 운전 전류가 19A일 경우 를 계산해보면
3.전선의 굵기....
전선의 허용전류 IW≥1.25ΣIM의 식에서
IW≥1.25*19(=23.75) IW≥23.75
전선의 허용전류는 23.75보다 같거나 큰 전선을 선택합니다..
전선의 허용전류표를 참고하여 2.5 SQ이상을 선택함.
4.차단기의 선정
식1) Ib≤3ΣIM의 식에서
Ib≤3*19(=57) Ib≤57A
57/23.75=2.4이므로 조건 만족...
차단기의 정격전류(AT)는 57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선택합니다.
차단기의 정격(20,30,40,50,60,75,100.......중에서)
50AT를 선택합니다..
맺음말) 전기의 기본을 말한것이며
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많은 변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