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수배전설비 자재설명

광심사 2014. 4. 16. 08:57

1. ALTS(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 자동절환 스위치

- 처리장 정전 방지를 위한 이중전원 설비의 필요 설비로 전원Ⅰ 또는 전원Ⅱ 중 1개 전원을 부하측으로 절체하면서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장치로 전원측의 Capacitor Divider에 의해 무 전압을 감지하여 0.2Sec 이내 활선 상태인 전원으로 부하측에 전력을 공급해준다.

 

2. ASS(Automatic Section Switch)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3상 4선식 22.9kV-Y 다중접지 방식의 단점인 지락사고 시 사고의 파급효과를 사고 수용가에 국한시키기 위한 설비로 개폐기 본체와 제어함으로 구성되어 개폐기에 내장되어 있는 CT에 의하여 상전류 정정값의 110%이상의 과부하 및 고장전류를 검출, 기억하며 800A미만의 과부하 및 고장전류에 대해서는 개폐기가 즉시 자동으로 개방된다. 900A 이상의 고장전류가 검출되면 제어함에 의하여 개폐기는 LOCK되고 제어함의 기억장치로서 전원측의 보호차단기(변전소 차단기 또는 리클로저)가 순시 동작하여 선로가 정전될 때 무 전압 상태에서 개방되어 계통에서 분리된다.

 

3. MOF(Metering Out Fit) : 계기용 변성기

- CT와 PT를 한 탱크내에 수용한 전력량계로서 고전압전기회로의 저기 사용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압의 전압과 전류를 저전압(110V) 저전류(5A)로 변성하는 장치.

①PT(Potential Transformer) : 계기용 변압기

- 고압회로의 전압을 저압으로 변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배전반의 전압계, 전력계<주파수계, 역률계, 표시등 및 부족전압 트립 코일(UVC)의 전원으로 상용된다.

②CT(Current Transformer) : 변류기

- 고압회로의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 변류기는 1차코일에 사용전압이 걸리며, 2차측에는 사용중 반드시 개로하여야 한다. 변류기의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2차 코일을 개방하면 2차 단자간에 고압이 발생하므로 코일의 손상내지는 감전 사고를 유발한다.

 

4. CB(Circuit Breaker) : 차단기

- 차단기는 보통상태에서 전로를 개폐하는 것은 물론 이상상태, 특히 단락상태에서 계전기와의 조합으로 전로를 자동적으로 개폐하여 기기를 보호하는데 사용한다. 차단기란 부하전류를 흐르게 하고 동시에 회로 고장 시에는 그 정격전류의 몇 배 되는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계기이다

①VCB(Vacuum Breaker) : 진공 차단기

- 진공에서의 높은 절연내력과 아아크 생성물의 진공 중으로의 급속한 확산을 이용해서 소호하여 주는 구조이다. 이것은 기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색이다.

②OCB(Oil Circuit Breaker) : 유입 차단기

- 절연유 중에 소호실을 가진 것으로 소전류 영역에서는 피스톤에 의해 유류를 품어서 소호시키고, 대전류 영역에서는 발생한 아크에 의해 기름이 분해되어 소호실 내에 높은 압력을 만들고 아크에 강력한 가스를 뿜어서 소호시킨다.

- 유입차단기는 다른 종류의 차단기에 비해 차단성능, 보수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넓은 전압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소, 중 용량 차단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기름을 사용하므로 화재의 위험과 무거운 것이 단점이다.

③MBB(Magnetic Blast Circuit Breaker) : 자기 차단기

- 자기차단기는 아크와 직각으로 자계를 주어 소호실 안에 아크를 밀어 넣고 아크 전압을 증대시키며, 또한 냉각하여 소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소전류에 대해서는 아크에 의한 자계가 약하여 소호능력이 저하하므로 차단기구에 연결한 부스터에 압축공기를 만들어 이것을 뿜어서 소호를 하도록 되어 있다.

④ACB(Air Circuit Breaker) : 기중 차단기

- 기중차단기는 자연공기 내에서 개방할 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자연소호에 의한 소호방식을 갖는 차단기로 교류저압이나 직류차단기로 많이 사용된다.

-직류용 차단기로 사용될 경우 단락전류를 차단할 때 개폐시간이 극히 짧고 한류작용을 나타내 고속도 차단기라고 한다. 배선용 차단기는 기구를 몰드 된 절연함 속에 넣어 소형화한 것인데 노 퓨즈 차단기 또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라고 한다.

⑤GCB(Gas Circuit Breaker) : 가스 차단기

- 가스차단기는 공기 대신에 절연내력과 소호능력이 뛰어난 불활성 가스인 SF6(육불화항)의 압축가스를 사용한 것으로 보수 점검 횟수가 적고 차단성이 좋을뿐만 아니라 소음이 작다. 가격이 고가이며 설치면적이 커 대부분 초고압 계통 차단기로 많이 사용된다.

 

5. TR(Transformer) : 변압기

- 변압기는 수, 변전설비의 주체를 형성하는 기기이며 그 신뢰성은 전체의 신뢰도를 결정한다.

- 고전압을 사용자의 필요전압으로 변성하는 기기이며 용도, 사용전압, 구조, 사용장소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형식으로는 옥내용(옥외용), 유입자냉식, 건식등이 있다.

 

6. SC(Static Condenser) : 전력용 콘덴서

- 역률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부하와 병렬로 접속

①DSC(Discharging Coil) : 방전장치

- 콘덴서를 회로로부터 개방했을 때 전하가 잔류 함으로서 일어나는 위험의 방지와 재투입 할 때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의 방지를 위해서 방전코일을 설치한다. 방전코일은 개로 후 5초이내에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50[V]이하로 저하시킬 능력이 있는 것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SR(Series Reactor) : 직렬 리액터

- 대용량의 콘덴서를 설치하면 고조파 전류가 흘러 파형이 일그러지므로 파형개선을 위해서 직렬리액터를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뱅크용량이 500[KVA]이상인 때에는 설치하는 것이 관례

 

7. LA(Lightning Arrester) : 피뢰기

- 고압가공 전선로에 의하여 수전하는 자가용 변전실의 입구에 설치하며 낙뢰나 혼촉사고등에 의하여 이상전압이 발생하였을 때 선로와 기기를 보호한다.

- 피뢰기는 갭저항형, 밸브형, 밸브 저항형, 갭레스형등이 있다.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선로 공칭전압을 1.1로 나눈 것을 1.4배 한 것을 사용한다.

 

8. PF(Power Fuse)

- 전력퓨즈는 고압 및 특별고압 기기의 단락보호용 퓨즈이고 소호방식에 따라 한류형과 비한류형이 있으며 한류형 퓨즈는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강제적으로 한류억제해서 차단하는 퓨즈이며 밀폐 절연통 안에 퓨즈 엘레멘트와 규소 등의 소호제를 충전, 밀폐한 구조이며 현재 수변전 설비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 전력퓨즈는 차단기와 릴레이 변성기의 3가지 기기 역할을 하는 특성이 있으며 경제적인 기기이면서도 확실한 동작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소형염가일 뿐만아니라 오동작이 없는 완전한 차단기로서의 진가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9. GR(Ground Relay) : 접지 계전기

- 지락 계전기라고도 하며 기기의 내부 또는 회로에 접지가 생기는 경우에 영상전류에 의하여 차단기를 동작하게 하는 계전기를 말한다.

 

10. ZCT(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 영상 변류기

- 고압 모선이나 부하기기에 지락사고가 생겼을 때 흐르는 영상전류를 검출하여 접지계전기에 의하여 차단기를 동작시켜 사고 범위를 적게 한다.

 

11. COS(Cut Out Switch) : 컷 아웃 스위치

- 컷아웃 스위치는 주로 변압기의 1차측의 각 상마다 취부하여 변압기의 보호와 개폐를 위한 것으로서 단극으로 제작된 것인데 내부의 퓨즈가 융단 되면 스위치의 덮개(특별고압용의 경우는 퓨즈홀더)가 중력에 의하여 스스로 개방되게 하여 멀리서도 퓨즈의 융단여부를 쉽게 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며, COS에 퓨즈 대신 동봉을 사용하면 단로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COS의 정격차단 용량은 그다지 크지가 않으므로 이를 채용할 경우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퓨즈의 차단전류용량 부족은 과전류에 의하여 융단될 때 퓨즈링크의 폭발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12. SA(Surge Absorber) : 서지 흡수기

- 서지흡수기는 피뢰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적용전압 범위만을 조정하여 적용시키는 일종의 옥내 피뢰기로서 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폐서지, 순간과도전압 등의 이상전압이 2차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서지흡수기로 대부분 큐피클에 내장, 설치하여 건식류의 변압기나 기기계통 보호가 주요대상이다.

'전기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 견적산출  (0) 2014.08.08
와이델타 결선 방식  (0) 2014.04.16
가로등 터파기  (0) 2014.04.12
[스크랩] 준공처리시 시설물 인수인계 서류안내  (0) 2012.08.18
Tray 가공법  (0) 201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