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관리)
1. 전기설비의 기초
(1) 전압(V)의 종류
종류 |
직류 |
교류 |
표준전압 |
저압 |
750V 이하 |
600V 이하 |
100V, 200V, 220V, 380V |
고압 |
750V 초과
7,000V 이하 |
600V 초과
7,000V 이하 |
3,300V 6,600V |
특고압 |
7,000볼트 초과 |
22,900V, 66,000V. 154,000V |
(2) 저항(Ω) : 전선의 굵기에 반비례하고, 전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R = L (도선의 길이cm)
A (도선의단면적 ㎠)
(3) 오옴의 법칙
V = I․R I = V/R
(4) 역률 = cosθ = 유효전력 1. 힘을 쓰는 비율
피상전력 2. 높을수록 좋다
3. 항상 1보다 작다
4. 역률의 개선대책 : (진상용 콘덴서 설치)
(5) 전력, 전력량
1) 전력 : 단위시간당의 일의 능력(KW)
2) 전력량 : 임의 시간동안의 전력소모량(KWH)
① 직 류 : P(W) = V × I
② 단상교류 : P(W) = V × I ×역률
③ 3상교류 : P(W) = × V × I ×역률
(6) 전기설비의 설치규정
1) 당해 지역에 설치하는 간선시설은 이를 공급하는 자가 설치해야 한다
① 사업주체가 100호 이상의 집단으로 건설하는 주택
② 16,500㎡이상의 일단의 면적을 대지로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2) 주택에 설치하는 전기시설의 용량
① 각 세대별로 3KW (단, 세대당 전용면적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3KW에 60㎡을
초과하는 10㎡마다 0.5KW을 더한 값)
2. 강전설비
(1) 수.변전 설비 : 송전선의 154,000V 또는 전주의 22,900V에서 저압으로 변압시켜
공급하는 변전설비
1) 수전용량 추정
㉠ 수용률 = 최대수용전력
부하설비용량
㉡ 부등률 = 각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의 합계
합계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
㉢ 부하율 = 평균 수용 전력
최대 수용 전력
㉣ 수용률, 부등률 및 부하율의 관계
평균수용전력 = 부등률
수용설비용량의 합 수용률
2) 변전실
① 위치
㉠ 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배전에 편리한 곳일 것
㉡ 외부로부터 기기의 반출.입과 전원 인입이 편리할 것
㉢ 보일러실, 펌프실, 예비 발전실, 엘리베이터 기계실과 관련성을 고려할 것
㉣ 습기가 적고 채광 통풍(변압기에서 열이 남)이 양호할 것
㉤ 주위에 폭발, 화재 등의 위험성이 적을 것
② 구조
㉠ 격벽은 내화구조로, 출입구는 방화문으로 한다
㉡ 바닥두께는 케이블, 배관 등을 고려하여 20 ~ 30cm 정도로 한다
㉢ 바닥하중은 중량에 견디도록 한다(500 ~ 1,000kg/㎡)
㉣ 천장 높이는 3.6m 이상으로 할 것(고압인 경우 3m(보 아래),
(특고압인 경우 4.5m 이상)
③ 변전실의 면적
필요바닥면적 = 3.3 변압기 용량(KVA)(㎡+ = 변압기 용량(KVA) (평)
필요바닥면적 = K ․(변압기 용량), K는 정수 0.4 ~ 1.3(평균 0.98)
3) 변전 설비용 기기
① 변압기
㉠ 유입변압기 : 절연 및 냉각을 위하여 기름을 사용
㉮ 변압기유의 구비조건
ⓐ 절연성이 클 것
ⓑ 점도가 낮고, 냉각효과가 클 것
ⓒ 인화점은 높고, 응고점은 낮을 것
ⓓ 금속재료와 접해도 화학반응이 없을 것
ⓔ 변압기유로는 석유계 광유가 쓰인다
㉯ 절연유의 열화방지 : 유(油)보존기인 콘서베이터를 부착하여 절연유의 열화를
방지한다
㉰ 절연유 절연파괴 시험 : 2년에 1회 이상 절연내력시험 및 산가측정 실시
ⓐ 절연파괴 전압 : 25,000V(25kV)이상이어야 한다
ⓑ 전산가 : 0.2 mg KOH/g이하는 양호, 0.4 mg KOH/g 이상은 불량
㉡ 건식변압기
㉢ 변압기의 극성 : 감극성
② 차단기
㉠ 유입차단기(O.C.B)
㉡ 공기차단기(A.C.B)
③ 콘덴서 : 역률개선
④ 배선반
㉠ 개방형
㉡ 큐비클형
㉢ 벤치 보드형
㉣ 보호장치
(2) 자가 발전 설비 : 수술실, 승강기, 전산실에는 예비전원을 갖추어야 한다
1) 예비전원의 종류
① 자가발전설비 : 정전 후 10초 이내에 기동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며 30분 이상
공급가능할 것
② 축전지 : 정전 후 충전하지 않고 30분 이상 방전 가능할 것(소용량)
③ 축전지와 자가발전설비 병용 : 한순간의 정전도 허용되지 않는 곳
(수술실, 전산실, 방송국)에 적합.
** 축전지설비는 충전없이 20분 이상 방전 가능해야 하며, 자가발전설비는 정전후
45초 이내에 기동해서 30분 이상 공급이 가능 할 것. **
2) 원동기 용량
원동기 출력(ps) ≥ 발전기 출력(kw)
발전기 효율 × 0.736
3) 발전기실
① 위치
㉠ 기기의 반출입 및 운전 보수가 편리한 위치일 것
㉡ 엔진 배기 배출구가 가까울 것
㉢ 급.배수가 용이한 곳일 것
㉣ 연료 보급이 용이할 것
㉤ 변전실에 가까울 것
㉥ 실내환기를 충분히 할 수 있을 곳
② 구조
㉠ 내화. 방음. 방진구조일 것
㉡ 발전기의 기초는 발전기 중량의 5배 정도의 콘크리트를 방의 바닥면과 절연시키고
방진재료를 패킹한다
㉢ 주위 온도가 5℃ 이내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엔진 시동 곤란 및 규정출력 미달의 우려)
㉣ 비상사태 발생 후 10초 이내에 가동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고,
30분 이상 전력공급이 가능해야 할 것.
③ 자가 발전기 용량 : 보통 수전설비 용량의 20% 정도
④ 시험운전 : 주 1회의 무부하 운전을 한다
4) 축전지실
① 위치, 장소 및 수명
㉠ 위치 : 충전기는 가급적 부하에 가까워야 한다
㉡ 장소 : 화재경보장치, 유도등, 전기시계, 통신용 제어조작 등에 사용하며,
정전 후 충전하지 않고 30분 이상 방전할 수 있어야 한다.
㉢ 수명 : 정격용량의 80%로 용량이 감소하였을 때
② 배치
㉠ 축전지와 입구 사이의 간격 : 2.6m 이상
㉡ 천장높이 : 2.6m 이상
㉢ 축전지와 벽면과의 간격 : 1m 이상
㉣ 축전지와 보수하지 않는 쪽의 벽면과의 간격 : 0.1m 이상
㉤ 축전지와 부속 기기 사이의 간격 : 1m 이상
③ 축전지실 설치 시 주의사항
㉠ 전기 배선은 비닐선을 사용한다.
㉡ 충전 중 수소가스의 발생이 있으므로 배기설비가 필요하다
㉢ 실내에 급. 배수시설을 한다
㉣ 내진성을 고려한다
④ 축전지의 충전방식
㉠ 부동충전
㉡ 균등충전
㉢ 세류충전
㉣ 보통충전
㉤ 급속충전
⑤ 축전지의 종류 및 특징
㉠ 연축전지 : 1개당 2V, 10Ah, 과충방전에 약하고, 충전시간이 길고, 기계적강도
약하고 싸다
㉡ 알칼리축전지 : 1개당 1.2V, 5Ah, 과충방전에 강하고, 충전시간 짧고,
기계적강도 강하고 비싸다.
(3) 배전 및 배선설비
1) 배전 : 전력을 각 수용가로 분배하는 것(배전반 → 간선 → 분전반 → 분기회로)
2) 간선의 설계순서
부하의 용량결정 → 전기방식과 배선방식결정 → 배선방법결정 → 전선의 굵기
결정
① 배선방식
㉠ 평행식
㉡ 나뭇가지식(수지상식)
㉢ 병용식
3) 분전반 : 배전반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말단 부하에 배전하는 것
(주개폐기, 분기회로용 개폐기, 자동차단기를 모아 놓은 것)
① 분전반 설치 시 주의사항
㉠ 개폐기는 나이프스위치나 노퓨즈 브레이커(N.F.B)가 사용된다
㉡ 고층건물은 가능한 한 파이프 샤프트 부근일 것
㉢ 분전반은 복도나 계단 근처의 벽에 설치한다
㉣ 분전반 1개의 공급면적은 1,000㎡ 이내가 되게 한다
㉤ 분기 회로 1개의 길이는 30m 이내가 되게 한다
㉥ 분전반 1개에는 분기회로 20개 이내로 한다
㉦ 1개층에 분전반 1개 이상씩 설치한다
㉧ 분전반은 3종 접지한다
4) 분기회로 : 저압 옥내 간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전기기기에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
① 분기회로를 나눌 때의 주의사항
㉠ 전등 및 콘센트 회로는 되도록 15A 분기회로로 한다
㉡ 전등회로는 부하의 합계가 분기 개폐기 용량의 80% 정도로 억제한다
(전등수의 제한은 없다)
㉢ 콘센트 회로는 한 회로에 수구수 8개 정도로 한다
②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에 개페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할 것
③ 허용전류가 정격전류의 35 ~ 55 % : 8m 이내 시설할 것
④ 허용전류가 정격전류의 55% 이상 인 경우에는 길이의 제한이 없다.
5) 전기방식(배선방식)
① 단상 2선식 : 100V, 200V중 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② 단상 3선식 : 100V, 200V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중성선 : 녹색과 흑색
③ 3상 3선식 : 200V, 380V
④ 3상 4선식 : 208V/120V, 460V/265V, 380V/220V
중성선 : 흰색과 회색
6) 배선 공사방법
① 애자 사용 공사 : 전개된 장소,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
전선 상호간 거리는 6cm, 지점 간 거리는 400V이하는 2m, 400V초과는 6m
② 목재 몰드 공사
③ 합성 수지 몰드 공사 : 내식성이 좋아 화학공장 배선에 적합
④ 경질 비닐관 공사
㉠ 절연성, 내식성이 뛰어나다
㉡ 중량이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다
㉢ 열에 약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다
㉣ 화학공장, 연구실 배선에 적합하다
⑤ 금속관 공사
㉠ 전선은 접속점이 없는 절연전선 사용
㉡ 전선관 1개의 표준길이는 3.66m, 전선 1권(롤)은 보통 300m
㉢ 전선의 총 단면적은 전선관 내부 단면적의 40% 이내가 되게 한다
㉣ 전선관 안의 전선 수는 10본 이내로 한다
㉤ 전선관은 3종 접지한다
⑥ 금속 몰드 공사 : 폭 5cm 이하, 두께 0.5 mm 이상 철재홈통에 전선을 넣고
뚜껑을 덮은 것
⑦ 가요 전선관 공사
㉠ 플렉시블 콘듀트 공사라고도 하며 굴곡이 많은 곳에 사용
㉡ 전동기 배선, 엘리베이터 배선, 기차, 전차 내의 배선 등에 적합
㉢ 습기,기름 등이 많은 곳은 방수용 가요 전선관을 사용한다
⑧ 금속 덕트 공사 : 큰 공장의 동력용으로 천장이나 바닥에 노출공사를 한다
⑨ 버스 덕트 공사 : 공장, 빌딩등 비교적 큰 전류를 통하는 간선을 시설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
⑩ 플로어 덕트 :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은행, 회사등의 사무실 바닥)
⑪ 케이블 공사
⑫ 케이블 트레이 공사
7) 전동기
① 전동기 종류
㉠ 직류 전동기 : 직권, 분권, 복권 전동기 3상 교류용 전동기 : 동기 전동기
㉡ 교류 전동기 : 단상 교류용 전동기 : 유도 전동기
㉢ 전동기 회전수 : N= 120 ․ f(주파수)
P (극수)
8) 감시. 제어
종류 |
용도 |
표시방법 |
전원표시 |
전원의 생.사 여부 판별 |
백색램프 |
운전표시 |
정상적 가동상태 판별 |
적색램프 |
정지표시 |
정지 상태를 표시 |
녹색램프 |
고장표시 |
고장의 유.무를 표시 |
오렌지램프
(버저나 벨이 울린다) |
경보표시 |
경보신호 |
백색램프
(버저나 벨이 울린다) |
9) 전선 굵기 선정
① 전선의 굵기 결정 요소 : 기계적 강도, 허용전류(안전전류), 전압강하
② 전선관의 굵기 결정 : 금속관 공사 참조
10) 접지
① 기기, 절연물이 열화 또는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 전류로 인한 감전 방지
② 고.저압 혼촉사고로 인한 인축에 위험을 주는 고압전류를 대지로 흘려 감전 방지
접지종별 |
접지저항값 |
접지선의 굵기 |
적용장소 |
제 1종 접지 |
10Ω 이하 |
2.6 mm 이상
(연선 : 8㎟) |
피뢰기, 피뢰침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
특고압 전선로에 보호선, 보호망 접지
고압 계기용 변성기 외함
정전방전기(사용전압 ×3배)
전기집진장치 |
제 2종 접지 |
150
1선지락전류(최소:2)
2초이내: 300
1초이내: 600 |
고압→저압 : 2.6 mm
특고압→저압 : 4.0 mm
(연선 : 8㎟) |
주상변압기 2차측
수용장소의 인입구 추가접지
특고압 또는 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2차측
금속제 혼촉 방지판 |
제3종 접지 |
100Ω 이하 |
1.6 mm 이상 |
고압계기용 변성기 2차측
지중전선로의 외함
조가용선 외함
네온변압기 외함 |
특별
제3종접지 |
10Ω 이하 |
1.6 mm 이상 |
(400V 이상)
푸울용 수중 조명등
용기외함 |
400V 미만 |
3종 접지 |
400V ~ 저압 |
특 3종 접지 |
고압 및 특고압 |
1종 접지 |
* 기계기구의 외함 및 철대 접지
단) 전압에 관계없이 사람이 닿을 우려가 없다 : (3종접지)
11) 배선기구
① 개폐기
㉠ 나이프 스위치 : 분전반의 주 개폐기나 각 분기 회로용 개폐기
㉡ 서킷 브레이커 : 부하상태에 의해 자동 작동한 후 원상태로 복귀 가능
② 점멸기(1개 스위치로 6등군 이하 점멸)
㉠ 텀불러 스위치 : 옥내용 소형 스위치
㉡ 타임 스위치 : 호텔, 여관의 객실 입구는 1분 이내.
일반주택, 아파트는 3분 이내 소등
㉢ 리미트 스위치 : 도난방지기,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하여 경보 동작
㉣ 플로트 스위치 : 옥상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
㉤ 마그네틱 스위치 : 전동기 제어
㉥ 로터리 스위치
㉦ 조광기 : 광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
㉧ 3로 스위치 : 계단의 상하에서 모두 점멸하고자 할 때 사용
3. 약전설비
(1) 전화설비
1) 교환방식
① 수동식
㉠ 자석식
㉡ 공전식
② 자동식
㉠ 스텝바이 스텝식
㉡ 크로스바식(공통제어방식) : 500대까지 설치 가능
㉢ 전자식
2) 내선 및 국선 수 산출 법
① 사용 인원수에 의한 산정 : 내선전화 = 사용 인원수 × 1.1
1.6 ~ 2.0
② 건축면적에 의한 산정 : 내선전화 = 건축 연면적(㎡)
8 ~ 15
* 전화 회선 표준 설비수
업종별 |
국선(10㎡당) |
내선수(10㎡당) |
사무실 |
0.4 |
0.8 |
관공서 |
0.4 |
1.0 |
은행. 상사 |
0.5 |
1.3 |
3) 유지관리사항
① 절연저항은 연 2회씩 측정 : 10MΩ 이상일 것
② 국선용 단자함 및 중간 단자함의 보안용 접지 : 100Ω 이하
③ 국선용 단자함은 월 1회, 중간단자함은 연 4회 먼지를 털어낸다
(2) 인터폰 설비
1) 접속방식에 의한 분류
① 모자식 : 병원등에 알맞으며 중앙 통제용이다(경비실과 세대간)
② 상호식 : (경비실과 관리실간)
③ 복합식 : 호텔등(모자식과 상호식을 조합)
④ 1대향식 : 특정 2개소 사이만의 통화
2) 시공 : 전화 배선과는 별도로 하며 설치 높이는 1.5m 정도
(3) T.V 안테나 설비
1) 안테나
① 안테나는 풍속 40m/s 에 견디도록 고정한다
② 강전류선으로부터 3m 이상 띄워서 설치한다
2) 정합기 : 정합기 설치 높이는 일반적인 경우 바닥 위 30cm 높이로 한다
3) 증폭기
① 약전계 이하의 난시청 구역
② 분배수가 너무 많아 수상기 입력단자에 의하여 54dB 이하로 될 때,
③ 여러개의 전용 안테나의 입력을 한 개의 케이블로 혼합될 때
4) 전송선 : 평행 2도선에서 임피던스 300Ω 의 평형 피어더를 쓴다
5) 분배기
6) 동축케이블
* 방향성 결합기나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에는 더미로드를 부착한다
7) TV전파 장해 원인
① 고스트 발생 : 전파장해로 영상이 2개 이상의 상으로 겹쳐 보임
㉠ 차폐장해
㉡ 반사장해
(4) 방송설비
1) CATV
2) HA(홈 오토메이션)시스템
(5) 차로 경보 설비
(6) 항공 장애등 설비 : 지상 또는 수면에서 60m 이상 높이의 건물에 설치(1종접지)
1) 저광도 항공장애등
① 수평면 아래 1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점멸하지 아니하는 적색등으로서 광도가 10칸데라 이상일 것(고정된 경우에 한한다)
③ 1분당 60회 내지 90회 점멸하는 황색등으로서 실효광도가 40칸델라 이상일 것
2) 중광도 항공장애등
① 수평면 아래 1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1분당 20회 내지 60회 점멸하는 적색등으로서 실효광도가 1천6백칸데라 이상일 것
3) 고광도 항공장애등
① 섬광하는 백색등일 것
② 수평면 아래 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4) 항공장애등의 설치방법
① 최상단에 설치하되 기능발휘가 곤란하면 1.5 ~ 3m 아래도 괜찮다
② 장애등 상호간격은 45m로 한다
③ 고광도 : 2,000cd(칸데라) 이상, 저광도 : 20cd 이상
4. 조명설비
(1) 용어 및 단위
1) 광속 : F [lm]루우멘 ; 빛의 양
2) 광도 : I [cd]칸델라 ; 빛의 세기(입체각당 광속밀도)
3) 조도 : E [lx]럭스 ; 빛의 밝기(조도면의 단위 면적당 투하된 광속밀도)
4) 휘도 : B [nt]니트 ; 표면의 밝기(눈부심 정도)
5) 광속발산도 : R [lrx]레드럭스 ; 물체의 밝기(광원의 단위 면적당 발산 광속)
(2) 조명의 조건
1) 조도
① 일시적 작업 : 150[lx]
② 보통작업,사무실 : 750[lx]
③ 정밀한 시작업(미세한 전자제품 조립) : 7,500[lx]
④ 지하주차장 : 50[lx]
2) 연색성
크세논등 〉 백열등 〉 주광색형광등 〉 메탈할라이드등 〉 백색형광등 〉
수은등 〉 나트륨등
3) 효율
나트륨등 〉 메탈헬라이드등 〉 형광등 〉 수은등 〉 백열등
(3) 조명방식
1) 배광에 의한 분류
① 직접조명
㉠ 조명률이 좋다 * 조명률 = 작업면의 광속
㉡ 먼지에 의한 감광이 적다 광원의 총광속
㉢ 설비비가 싸다
㉣ 강한 조명이 되기 쉽다(물체에 강한 음영이 생기므로 눈이 쉽게 피로)
㉤ 기구의 선택을 잘못하면 눈부시다
② 반직접 조명 : 광선의 대부분이 직사광선, 나머지 일부분을 반사광선을 이용
③ 전반확산 조명 : 절반을 직사광선, 나머지 반을 반사광선(직접조명의 특징과 비슷)
④ 반간접 조명 : 대부분을 반사광선, 일부분을 직사광선으로 이용
⑤ 간접조명 : 거의 전부 반사광선
㉠ 조도가 균일하고, 음영이 유연하다
㉡ 조명률이 가장 낮다
㉢ 먼지에 의한 감광이 많다
㉣ 천장면 마무리(재질, 색깔)에 영향을 받는다
㉤ 설비비가 비싸다
2) 기구 배치 방식에 의한 분류
① 전반조명 : 작업면의 전체를 균일한 조도가 되도록 조명(사무실, 공장. 교실)
② 국부조명 : 특정 작업면에서 높은 조도를 필요로 할 때 채택 ; 명암차이가 커서
눈이 쉽게 피로
③ 전반 국부조명 ; 작업면 전체는 전반조명, 필요한 장소에만 국부조명 ;
경제성과 안정성을 취함
3) 건축화 조명 : 건축물의 일부를 발광체로 하여 균일한 조도 및 음영을 부드럽게
하는 것
① 종류
㉠ 다운라이트 : 광원을 천정 안에 매입하고 작은 구멍을 뚫어 빛은 아래로
투사시키는 방법
㉡ 루버 조명 : 쾌청한 낮과 근사한 주광상태를 재현한다, 루버가 오손되기 쉽고
보수가 어렵다
㉢ 광천장 조명 : 천장면 광원중에 조명률이 가장 높다. 보수가 용이하므로 많이 사용
㉣ 코퍼 조명(천장매입) :
㉤ 코브 조명(간접조명) : 눈부심이 없고 조도분포가 균일하며 그림자가 없다
㉥ 코니 조명(벽면조명)
㉦ 밸런스 조명 : 분위기 조성에 효과적인 방식
4) 조명설계
① 좋은 조명의 조건
㉠ 적당한 조도
㉡ 눈부시지 않을 것
㉢ 벽, 기타 주위의 휘도와 작업장소의 휘도와의 적당한 대비
㉣ 색을 식별할 필요가 있을 때 적절한 광원의 선택
② 조명설계순서
㉠ 소요 조도 설정
㉡ 광원선택
㉢ 조명방식 결정
㉣ 조명기구 선정
㉤ 조명기구 배치 결정
㉥ 실지수 결정 : 실지수가 클 수록 조명율이 높다; 단위는 없다
*실지수 = X․Y X : 방의 가로길이(m)
H(X+Y) Y : 방의 세로길이(m)
㉦ 조명률(U) 결정 H : 작업면(피조면 : 바닥 + 0.85m)으로부터 광원까지의 거리
㉧ 감광보상률 결정 : 조명기구는 사용함에 따라 작업면의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데 이를
예상하여 여유를 두며 이를 감광보상률이라 한다
직접조명 : 1.3 ~ 2.0, 간접조명 : 1.5 ~ 2.0)
또한 감광보상률의 역수를 유지율 : M(보수율)이라 한다.
㉨ 광속 결정 F : 광원 1개 광속[lm]
F = A․E․D = A․E A : 방의 면적[㎡]
N․U N․U․M E : 작업면 평균조도[lx]
D : 감광보상률(1.3 ~ 2.0)
※ E․A․D = F․U․N N : 광원의 개수
U : 조명률
M : 유지율(D의 역수)
㉩ 광원의 수 및 크기를 결정한다
㉪ 조도분포와 휘도 등을 재검토 한다
㉫ 점멸방법, 스위치, 콘센트 등 배치
㉬ 평면도에 배선 설계
③ 기구의 배치
㉠ 광원의 높이
ⓐ 직접조명 : 작업면 거리의 2/3
ⓑ 간접조명 : 작업면 거리의 1/5
단, 바닥면이 피조면인 경우 : 건물의 철골공장, 엘리베이터 홀 다운라이트 조명.
㉡ 광원의 간격
ⓐ 등기구 상호간 : S ≤ 1.5 H
ⓑ 벽면과 광원사이 간격 : So ≤ H/2(벽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So ≤ H/3(벽면을 사용할 경우)
* 주요한 건축 조명용 광원의 특징
종류구분 |
백열전구 |
형광등 |
수은등 |
메탈
할라이드등 |
고압나트륨등 |
연색성 |
좋다 |
비교적 좋다 |
나쁘다 |
좋다 |
매우 나쁘다 |
효율 |
좋지 않다
10-20 |
비교적 양호하다
50-90 |
비교적 양호하다
40-65 |
양호하다
70-95 |
매우 양호하다
90-100 |
수명 |
짧다
1,000 -,2000 |
비교적 길다
7,500-10,000 |
길다
6,000-12,000 |
비교적 길다
6,000-9,000 |
길다
9,000-12,000 |
설비비 |
비싸다 |
비교적 싸다 |
다소 비싸다 |
다소 비싸다 |
비싸다 |
유지비 |
비교적 비싸다 |
“ |
비교적 싸다 |
비교적 싸다 |
싸다 |
용도 |
조명전반 |
조명전반 |
천장투광조명
도로조명 |
높은 천장조명 |
도로조명
터널조명 |
특징 |
휘도높고
열방사 많다 |
저휘도
열방사 적다 |
고휘도
점등시간소요 |
고휘도
연색성이 좋다 |
실내조명 부적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