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계

건축설계 <도면작성지침>

광심사 2011. 1. 9. 12:57

건축설계 <도면작성지침>

도면작성지침

1. 지침서의 목적 및 적용범위

 

본 지침서는 설계 작업에서 발생되는 많은 사항들 중 공통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며, 설계내용에 따라 구성 및 형식이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변화는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융통성 있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1-01. 목 적

작성되는 도면의 통일성 및 균일성
설계작업의 능률화
협력업체 및 Owner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추후 CAD database 구축 및 사용
건축의 Quality 향상

1-02. 적용 범위

사무소에서 작성되는 모든 도면(기획설계,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및 외주시행하는 협력업체의 작성도면 포함)에 적용한다.
본 지침서에 서술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건축관련 일반 제도기준에 따른다.

 

  

2. 설계단계 및 업무정의

 

현대사회가 다양화 및 대규모화됨에 따라 건축이 수용해야 할 내용이 많아지면서 건축에 요구되는 사항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종전의 방법으로는 건축이 해결해야 할 내용을 전부 받아들일 수 없게 되었고, 이런 많은 문제들을 풀어내기 위해서 과학적이고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방법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과학적, 논리적, 체계적인 설계를 위하여 설계의 과정은 단계별로 추진되며, 각각의 단계별 업무는 나름대로의 정의, 목적 등을 갖게된다. 그러나, 이런 설계방법론에 대해 체계화된 내용은 없으며, 그것을 정의하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된다.

본 지침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계 4단계 + 감리단계로 설계업무를 분류하고자 한다.

Phase 1. 기획설계(Preliminary-Design, Programming, Feasibility, Design Brief)
설계수주를 위한 건축 가능여부의 조사와 사업성 검토를 하는 단계로서, 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료조사 및 법규검토가 선행되는 단계

Phase 2. 계획설계(Schematic Design)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조건, 개념설계, 구성요소의 규모 및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Phase 3. 기본설계(Design Development)
계획설계에서 설정된 기본구상이 실시설계에 반영되도록 프로젝트의 모든 중요한 사항 을 정의하고 설명하여 실시설계단계를 준비하는 단계

Phase 4. 실시설계(Construction Document, Action Design)
기본설계도서의 승인된 것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도면에 나타내어 실제로 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Phase 5. 감리업무(Construction Administration)
설계의 의도가 정확하게 시공자에게 전달되고 구체적으로 실현되도록 하는 단계

구 분

영 문

약 어

비 고

기획설계

Preliminary-Design

PD

Programming / Feasibility

계획설계

Schematic Design

SD

 

기본설계

Design Development

DD

 

실시설계

Construction Document

CD

Action Design

감리업무

Construction Administration

CA

 

 

  

2-01. 기획설계(Preliminary-Design: PD)

 

2-01-01. 기획 단계

구 분

주 요 내 용

정 의

설계수주를 위한 건축 가능여부의 조사와 사업성(규모)검토를 하는 단계
건축주의 프로그램, 재정, 요구 시간 및 업무 범위 설정
시설계획과 경제적 타당성 검토, 프로젝트 Schedule과 예산 확립
품질/ 소요시간/ 비용, 그리고 무엇을/ 언제/ 어떤 규모/ 어떤 곳에/ 건설할 것인가 하는 필수적 의사결정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정의

목 적

수주

프로젝트 목표의 명확화, 설계조건의 명확화
: 건축주 목표정리, 건물 수준협의
시설계획 및 프로그래밍 (사업개요, 부지, 시설내용 조사)
경제성 및 경제타당성의 조사
프로젝트 스케쥴 및 예산 작성

주요업무
부지선정 협력
사업성 검토
사업의도의 정리
건축주 요구사항 체크
프로젝트 업무범위 리스트 작성
건축주 예산 체크
프로젝트 업무계획

협의사항
건축주도 요구조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유사한 예를 제시하거나, 부지/ 법적 조건/ 요구사항을 알기 쉬운 자료를 사용해 협의한다.
판단의 기준을 건축주와 공유한다.
설계조건을 검토/정리할 때 항상 완성시킬 구성과 형태를 고려하여 협의한다.

2-01-02. 대지 분석

구 분

주 요 내 용

정 의

대지분석은 프로젝트의 프로그램, 예산, 스케쥴과 관련하여 정하여진 대지 또는 잠재적인 대지를 평가하는 작업이다.
대지와 프로그램의 이해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며, 논리적이고 현명한 대지의 사용뿐만 아니라 대지의 선택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된다.

목 적
프로그램 평가
건물개요 파악 / 주차 / 동선 / 프로그램 평가 요약정리
대지조건 평가
물리적 조건파악 / 문화적 조건파악 / 법규적 조건파악

주요업무
대지분석 및 선정 대지개발 계획
대지공급시설 상세 연구 대지내 공급시설 연구
대지 외 공급시설 연구 도시계획과 협조
대지환경요소 분석 주변환경요소 분석

조사분석

단계

진행방법


대지현황 조사분석
▶ 대지의 자연환경 조사분석
▶ 주변의 인문환경 조사분석
▶ 사회적 인자 조사분석

    1.입지조건분석
    2.시설현황분석
    1.지형 분석
    2.지질 분석
    3.식생 분석
    4.수리 분석
    5.국지기상분석
    6.경관 분석
    7.소음 분석

    1.인구 분석
    2.교통 분석
    3.영향권 분석
    4.토지이용분석
    5.시설 분석
    6.법규 분석
    7.사회/경제분석

    1.생태 분석
    2.행태 분석
    3.심리 분석

2-01-03. 현상설계(Competition)

구 분
요 내 용
정 의
목 적
주요업무
협의사항

 

  

3. 도면의 작성

3-01. 일반사항

 

3-01-01. 도면작성의 기본원칙

①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도면은 생략한다.
② 동일치수 및 상세도는 반복하여 작성하지 아니한다.
③ 재료의 표시는 최소한으로 간단 명료하게 하며, 재료표기는 특정회사의 제품명을 사용하지 않는다.
④ Note로 표기할 수 있는 내용은 도면작성을 생략한다.
⑤ 기성제품의 표기는 단순하게 표시한다.
⑥ 각종 Level은 마감 Level을 기준으로 하되, 구조 Level을 표기할 경우 이를 명확히 구분해준다.
⑦ 각종 단면 치수는 구체선을 기준으로 한다.
⑧ 재료명은 시방서와 동일하게 표시한다.
⑨ 시방서에 Shop Drawing이 필요하다고 지정한 경우 지나친 설치상세의 표현은 생략한다.

3-01-02. 문안작성의 기본원칙

① 국내공사용 설계도면에 표기하는 모든 문안은 건축용어사전에 수록된 맞춤법에 따라 한글로 표기하며, 외래어에 의한 용어는 문교부 제정의 한글 표기방법에 따라 한글로 표기한다.

② 영문 약어를 표기할 때는 Period를 찍도록 한다.

③ 재료와 그 규격을 표시할 때는 규격을 먼저 기입하고 다음 재료명을 기입한다.
ex) THK.150 잡석다짐, Φ25 ST. 파이프

④ 간격을 나타낼 경우는 마지막에 기입하고 mm 척도로 환산하여 기입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철골 및 경량형강은 METRIC척도만 사용한다.

3-01-03. 제도용지
도서작성 도면의 규격은 A0 또는 A1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심의용 도면의 크기는 심의 관할관청의 규정에 따른다.

규 격

SIZE

주 용 도

비 고

A0

840 ×1,188

기본설계, 실시설계 (FORMAT SIZE가 클때)

 

A1

594 ×840

기본설계, 실시설계 (최종 납품용)

 

A2

420 ×594

심의용(지역에 따라)

 

A3

297 ×420

심의용, 허가용

 

etc

450 ×300

서울특별시 심의용

 

 

  

3-02. 도면의 구성

 

3-02-01. 도면의 배치

1) 도면작성 전 도면배치를 결정하며, 도면이 짜임새 있고 도면파악이 쉽도록 한다..

2) 도면의 방향
ⓐ 도면에 있어 항상 위쪽(top)을 북측방향으로 한다.
ⓑ a항이 어려울 경우 도면의 좌측(left side)을 북측방향으로 한다.

3) 도면내에 작성되어야 할 사항들을 적당한 위치에 기준축척의 크기로 배치한다.

4) 치수선, 설명문자, Graphic Symbol 등 기재되어야 할 사항의 공간을 고려한다.

5) 한 Sheet에 여러 개의 도면이 작성될 때 배치는 아래의 기준을 따른다.
ⓐ 한 Sheet내에서도 도면의 위계(Hierarchy)를 고려한다.
ⓑ 도면내용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같은 Sheet에 배치하지 않는다.
ⓒ 상세도가 많아 혼동의 우려가 있을 경우 강한선으로 구획한다.
ⓓ 도면사이에 적당한 양의 여백을 두어 도면을 읽기에 편한게 한다.

6) 도면에 관한 정보는 일반적인 사항에서부터 상세한 내용까지 기술한다.

3-02-02. 표제란(TITLE BLOCK)

분 류

내 용 설 명

도 해

① 보조공간
AUXILIARY
SPACE
LEGEND / KEY PLAN (아래참조)
건축주의 LOGO를 기입할 필요시 최상부에 표기한다. 동일건축 자체도면의 표제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수 있음)

② 협력업체
해당도면에 대한 협력업체의 표기

③ KEY - PLAN
배치도의 일부분이나 전체 평면의 일부분 혹은 입면이나 단면도에서 그 위치를 알려줄 필요가 있는 모든 도면에 작성한다.
주열번호는 처음과 끝번호만 표기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주열간격은 표시하지 않는다.

④ REVISION
수정사항이 발생한 경우 기입한다.

⑤ NOTE
도면으로 표기하기 곤란한 사항 및 해당도면 및 해당도면에 대한 일반사항을 기입한다.
글자크기는 3mm로 작성한다.

⑥ 도면명
DRAWING TITLE
도면의 주된 명칭을 기입한다.
글자크기는 5mm로 작성한다.

⑦ 담 당
DRAWN BY
도면 작성자의 이름을 기입한다.

⑧ 검 토
CHECKED BY
검토자(팀장, 실장)의 성명을 기입한다.

분 류

내 용 설 명

도 해

⑨ FILE NAME
AUTO-CAD File Name을 적는다. (File-Naming 작성지침 참조)

⑩ REF. FILE
X-REF(외부참조)를 사용할 경우, 참조된 도면의 FILE NAME을 적는다. (DWF 포함)

⑪ 승 인
APPROV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일건축의 대표가 날인한다.

⑫ 날 짜
DATE
도면완성 납품일자를 기록한다.

⑬ 축 척
SCALE
분수로 기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축척이 2개 이상일 경우 작은 것부터 기입한다. (1/200, 1/50)
축척이 4개 이상일 경우는 '도면참조'또는 'AS SHOWN'으로 표기한다.
축척이 없는 경우 '없음' 또는 'NONE' 으로 표기한다.

⑭ 도면번호
DRAWING NO.
공종과 도면번호를 기입한다.
글자크기는 5mm로 작성한다.

3-02-03. 도면의 주기

1) 작성기준

ⓐ 모든 NOTE의 글자크기는 3mm로 작성한다.
ⓑ NOTE가 도면상에 침범하지 않도록 한다.
ⓒ NOTE가 단락이 지는 곳은 12mm정도의 간격을 둔다.
ⓓ 계단, shaft 등의 내화등급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일반 NOTE나 도면에서 표현한다.
ⓔ 가능한한 약어(Abbreviation)는 사용하지 않는다.

▶ 도면의 일반 주기

1. 설계기준
설계기준은 건축법 및 관련규정에 의하며, 규격 및 재료는 KS규격 및 동등 이상으로 한다.

2. 치 수
치수는 주기가 없는 한 METRIC 단위로 한다.
치수는 도면에 표기된 수치를 우선으로 한다.(SCALE로 재지 말 것.)
시공전에 모든 치수를 확인하고, 각종 개구부 및 설치물, 슬리브 등은 조 및 설비도면을 참조하여 시공한다.

3. 도면의 우선순위
도면과 시방서가 상이할 경우 시방서에 우선하여 시공하며, 설계자와 사전협의한다.
건축도면, 구조도면, 설비도면 등이 서로 상이할 경우 건축도면에 우선 하여 시공하며, 설계자의 확인을 받는다.
각 도면간에 표현이 상이할 경우 축척이 큰도면(상세도)이 우선한다.
도면의 우선 순위는 최근 발행 날짜의 것이 우선한다.

4. 도면의 유효
시공에 적용되는 도면은 실시설계 납품도면에 한하며, 도면의 승인란에 서명이나 날인이 된 것에 한하여 유효하다.

2) 외래어의 표현

① 표기의 기본원칙
-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개 자모(子母)만으로 적는다.
-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 받침에는 "?,遁,?,?,?,걁,둁,"만을 쓴다.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 영어의 표기

제1항 무성 파열음([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보기>gap[Бæp] 캡cat[kæt] 캣
book[buk] 북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k])은 받침으로 적는다.
<보기>apt[æpt] 앱트setback[setbæk]셋백
act[ækt] 액트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보기>stamp[stæmp] 스탬프cape[keip] 케이프
nest[nest] 네스트part[nest] 파트
desk[desk] 데스크make[meik] 메이크
apple[æpl] 애플mattress[mætris] 매트리스
chipmunk[tгipmмŋk] 치프멍크sickness[siknis] 시크니스

제2항 유성 파열음([b], [d], [Б])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보기> bulb[bмlb] 벌브land[lænd] 랜드
zigzag[ziБzæБ] 지그재그lobster[l bst ] 로브스터
kidnap[kidnæp] 키드냅signal[si n l] 시그널

제3항 마찰음([s], [z], [f], [v], [?], [ð], [г], [т])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보기> mask[m sk] 마스크 jazz[d æz] 재즈
graph[ ræpf] 그래프 olive[ liv] 올리브
graph[Бræpf] 그래프 olive[?liv] 올리브
thrill[ ril] 스릴 bathe[beið] 베이드

2) 어말의 [г]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г]는 '슈'로, 모음 앞의 [г]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보기> flash[flæг]플래시 shrub[гrмb] 슈러브
shark[гЁ?k]샤크 shank[гæŋk] 섕크
fashion[fæг?n]패션 sheriff[гerif] 셰리프
shopping[г?piŋ]쇼핑 shoe[гu?] 슈
shim[гim] 심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т]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т]는 '?'으로 적는다.
<보기> mirage[mir ] 미라지 vision[vi n] 비전

제4항 파찰음([ ], [ ], [ ], [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 ], [ ]는 '츠', '즈'로 적고, [ ], [ ]는 '치', '지'로 적는다.
<보기> Keats[ki ] 키츠 odds[ ] 오즈
switch[swi ] 스위치 bridge[bri ] 브리지
Pittsburgh[pi b ] 피츠버그 hitchhike[hi haik] 히치하이크

2) 모음 앞의 [ ], [ ]는 '쁁,롁'으로 적는다.
<보기> chart[ t] 차트 virgin[v in] 버진

제5항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보기> steam[sti m] 스팀 corn[k ring[ri ŋ]링 lamp[læmp] 램프
hint[hint] 힌트 ink[i ŋk] 잉크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둁'으로 적는다.
<보기> hanging[hæŋiŋ] 행잉 longing[l ŋiŋ] 롱잉

제6항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보기 > hotel[houtel] 호텔 pulp[p lp] 펄프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로 적는다.
<보기> slide[slaid] 슬라이드 film[film] 필름
helm[helm] 헬름 swollen[swouln] 스월른
Hamlet[hæmlit] 햄릿 Henley[henli] 헨리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보기> team[ti m] 팀 route[ru t] 루트

제8항 중모음([ai], [au], [ei], [ i], [ou], [au ])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 ]는 '아워'로 적는다.
<보기> time[taim] 타임 house[haus] 하우스
skate[skeit] 스케이트 oil[ il] 오일
boat[bout] 보트 tower[tau ] 타워

제9항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 ], [w ], [wou]는 '워', [w ]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보기> word[w d] 워드 want[w nt] 원트
woe[wou] 워 wander[w nd ] 완더
wag[wæ ] 왜그 west[west] 웨스트
witch[wi ] 위치 wool[wul] 울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 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보기> swing[swiŋ] 스윙 twist[twist] 트위스트
penguin[pe ŋ win] 펭귄 whistle[hwisl] 휘슬
quarter[kw t ] 쿼터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 ]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보기> yard[j d] 야드 yank[jæ ŋk] ?크
yearn[j n] 연 yellow[jelou] 옐로
yawn[j n] 욘 you[ju ] 유
year[ji ] 이어 Indian[indj n] 인디언
battalion[b tælj n] 버탤리언 union[ju nj n] 유니언

제10항 복합어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보기 > cuplike[k plaik] 컵라이크 bookend[bukend] 북엔드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touchwood[t wud] 터치우드
sit-in[sitin] 싯인 bookmaker[bukmeik ] 북메이커
flashgun[flæ n] 플래시건 topknot[t pn t] 톱놋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보기> Los Alamos[l s æl mous] 로스 앨러모스/로스앨러모스
top class[t pklæs] 톱 클래스/톱클래스

 

표현 실례 원 어

옳은 표기

잘못된 표기

비 고

Access Floor

액세스 플로어

악세스 후로아

 

Acoustic

어쿠스틱

아코스틱

 

Alkali

알칼리

알카리

 

Aluminum

알루미늄

알미늄

 

Anchor Plate

앵커 플레이트

앙카 프레이트

 

Atrium

아트리움

 

 

Back-Up

백업

빽업, 백엎

 

Balance

밸런스

발란스, 바란스

 

Battery

배터리

밧데리

 

Binder

바인더

바인다

 

Bleeding

블리딩

브리이딩, 블리이딩

 

Blind

블라인드

브라인드

 

Bracket

브래킷

브라켓, 브라케트, 부라켓 부라케트

 

Brush

브러시

브러쉬

 

Bucket

버킷

바켓, 버켓

 

Carpet

카펫

카아핏, 카아펫, 카펫트

 

Catalogue

카탈로그

카다로그, 카타로그

 

Cement

시멘트

 

 

Clamp

클램프

크램프

 

Compressor

컴프레서

콤프레샤, 컴프레샤

 

Core

코어

코아

 

Cover

커버

카바

 

Creosote

크레오소트

크레오소오트

 

Cylinder

실린더

시린더, 시린다, 실린다

 

Damper

댐퍼

담파

 

Duct

덕트

닥트

 

Elevator

엘리베이터

엘레베타, 엘레베이타. 엘레베타

 

Emulsion Paint

에멀션 페인트

에멀젼/이멀젼 페인트

 

Expansion

익스팬션

익스펜숀, 익스펜션

 

Film

필름

필림

 

Finisher

피니셔

피니샤, 휘니샤, 피니시어

 

Flashing

플래싱

후레싱

 

Floor

플로어

플로아, 후로아

 

Flush Door

플러시도어

후레시도어, 프레시도어, 후라쉬도어

 

Frame

프레임

후레임

 

Gasket

개스킷

가스켓, 가스케트

 

Gondola

곤돌라

곤도라

 

Hammer

해머

함마

 

Joint

조인트

죠인트, 쪼인트

 

Mortar

모르타르

몰탈, 모르터

 

Non-Slip

논슬립

논스립

 

Packing

패킹

박킹

 

Pair Glass

페어 글라스

페아 그라스(글래스)

 

Pallet

팰릿

빠레트, 빨레트, 파레트

 

Panel

패널

판넬

 

Plastic

플라스틱

프라스틱

 

Roller

롤러

로울러, 로라, 롤라

 

Rubber

러버

라바

 

Sash

새시

샤시, 샷시, 샷쉬, 샷슈, 섀시

 

Schedule

스케줄

스케주울, 스케쥴

 

Sheet

시트

쉬트

 

Shutter

셔터

샤타, 샷다

 

Slab

슬래브

슬라브, 스라브, 슬랩

 

Sleeve

슬리브

슬리이브, 스리브

 

Span

스팬

스판

 

Stainless

스테인레스

스텐레스

 

Stirrup

스터럽

스티럽

 

Sunken

선큰

썬큰

 

Washer

와셔

와샤, 워셔

 

 

3) 도면의 약어(Abbreviation) 기준

설계도면에서 한 두번 나타나는 것은 원어(Spelling Out)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제목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약어는 대문자를 사용하며, 마침표(Period)로 끝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내용 도면에서만 사용되는 약어가 있으므로 사용에 유의한다.
(ex. 美 A.D.-Area Drain / BM-Beam / EL.-Elevation / O.P.-Operable Partition
Gl.-Glass / F.B.- Fire Blanket 등)

※ 굵은 글씨의 약어는 국내/미국과의 약어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짐으로 주의.


구분

약어

영문 원어

국 문

비 고

A

A.C.

Air Conditioner

 

 

A.D.

Air Duct Shaft

에어덕트 샤프트

Area Drain(美)

AL.

Aluminum

알루미늄

 

ALT.

Alternate

대안

 

APPROX.

Approximate

대략, 근사치

 

ARCH.

Architectural

건축의

 

B

BD.

Board

보드, 판

 

BLDG.

Building

빌딩

 

B.M.

Bench Mark

벤치마크, 기준점

Beam(美)

BOT.

Bottom of

∼의 하부부터

 

C

CLG.

Ceiling

천장

 

CH.

Chimney

굴뚝

 

C.H.

Ceiling Height

천장고

 

C.J.

Control Joint

신축줄눈

 

C.L.

Center Line

중심선

 

COL.

Column

기둥

 

 CONC.

 Concrete

 콘크리트

 

 CONT.

 Continuous

 계속되는, 연속적인

 

 CONST.

 Construction

 건설

 

 D

 D

 Depth, Deep

 깊이

 

D.C.

Dust Chute

쓰레기 투입구

 

DET.

Detail

상세

Abbreviation

DIA.(Φ)

Diameter

지 름

 

DIM.

Dimension DIM.

치 수

 

DN.

Down

내림, 내려감

 

D.O.

Door Open

창호 개구부

 

DR.

Door

 

DWG

Drawing

도면, 그림

 

E

EA.

Each

∼개

 

E.J.

Expansion Joint

신축줄눈

 

E.L.

Earth Level

표 고

 

ELE.

Elevation

해발, 높이

 

ELEC.

Electrical

천장

 

ELVT.

Elevator

엘리베이터

 

E.P.

Emulsion Paint

에멀션페인트

 

E.P.S.

Electric Power Shaft

전기설비 덕트공간

 

EQ.

Equal

동등한, 균등한

 

ESCAL.

Escalator

에스컬레이터

 

EXT.

Exterior

외부의

 

F

F.B.

Flat Bar

평 철

 

F.C.U.

Fan Coil Unit

팬코일유니트

 

F.F.L.

 Finished Floor Level

바닥 마감레벨

 

F.D.

Floor Drain

바닥 배수구

 

F.H.C.

Fire Hose Cabinet

옥내 소화전

 

FIN.

Finish

마 감

 

FL.

Floor

바 닥

 

F.L.

Floor Level

바닥 레벨

 

G

GA.

Gauge

게이지

 

GALV.

Galvanized

아연 도금

 

G.L.

Ground Level

지표선

 

GYP.

Gypsum

집섬, 석고

Abbreviation

H

H.

Height

높 이

 

HD.W.

Hard Ware

하드웨어

 

HORIZ.

Horizontal

수평의

 

I

IN

In (입구)

입 구

 

INSUL.

Insulation

단열내

 

INT.

Interior

 내부의

 

J

JAN.

Janitor

청소실

 

L

L.

Landscape/Length

조경/길이

 

LAB.

Laboratory

신축줄눈

 

LAV.

Lavatory

세면대

 

M

MAX.

Maximum

최대값

 

MECH.

Mechanical

기계의

 

MEZZ.

Mezzanine

중 2층

 

MFR.

Manufacturer

제조업자

 

MH.

Manhole

맨홀, 점검구

 

MISC.

Miscellaneous

기타, 잡

 

MIN.

Minimum

최소값

 

M.O.

Masonry Open

구체 개구부

 

N

N.

North

북(北)

 

N.A.

Not Applicable

관계없는

 

N.I.C.

Not In Contact

별도 공사

 

NO.

Number

번 호

 

N.T.S.

Not To Scale N.T.S.

축척 없슴

 

O

O.C.

On Center

중심선 간격

 

OFF.

Office

사무실

 

O.P.

Oil Paint

유성페인트

 

OPNG.

Opening

개구부

 

O.P.

Oil Paint

옥내 소화전

 

OPNG.

Opening

마 감

 

OUT

Out

출 구

Abbreviation

P

P.C.

Precast Concrete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E.

Poly-ethylene

폴리에틸렌

 

PL.

Plate

판, 금속판

 

PLAS.

Plaster

회반죽

 

PLYWD.

Plywood

합 판

 

P.S.

Pipe Shaft (Space)

설비파이프 공간

 

P.V.C.

Poy-Vinyl-Chloride

염화비닐

 

R

R

Radius

반 경

 

R.

Riser

계단의 수직판

 

R.C.

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

 

R.D.

Roof Drain

지붕 배수구

 

REF.

Reference

참 조

 

REFR.

Refrigerator

냉장고

 

REV.

Revsion

수정, 변경

 

RM.

Room

 

S

S.F.L

Structure Finish Level

구체바닥레벨

 

SHT.

Sheet

시트, 박판

 

SIM.

Similar

유 사

 

SPEC.

Specification

설명서

 

SQ.

Square

정방형

 

S.R.C.

Steel Reinforced Concrete

철골 철근콘크리트

 

S.ST

Stainless Steel

스테인레스 스틸

 

ST.

Steel

철 재

 

S.T.

Smoke Tower

연도, 배기구

 

STOR.

Storage

창 고

 

STRL.

Structural

구조의

 

SW.

Switch

스위치

Abbreviation

T

T

Tread

디딤판, 발판

 

T/

Top of

∼의 상단

 

THK.

Thickness

두께

 

TEL.

Telephone

전화

 

TYP.

Typical

전형적인, 공통적인

 

V

VAR.

Variable

변화치수

 

VER.

Vertical

수직의

 

W

W.

Width

 

 

W/

With W/

∼와(수반되는 것)

 

 

W.M.

Wire Mesh

와이어 메시

 

 

W.C.

Water Closet

화장실

 

 

WD.

Wood

나무

 

 

W.P.

Working Point

시공기준점

 

 

WT.

Weight

중량

 

 

  

3-03 도면의 작성방법

 

3-03-01 도면의 구분

도면의 구분은 단순한 scale별 분류가 되서는 안되며, 도면의 성질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도면번호는 일련번호일 필요가 없으며, 도면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하여 100단위씩 끊어서 분류한다.

: 공사별 분류

A : 건 축 (Architecture)
S : 구 조 (Structure)
C : 토 목 (Civil)
M : 기 계 (Mechanical)
E : 전 기 (Electrical)
L : 조 경 (Landscape)

① 기숙사, 교도소, 공동주택 등과 같이 여러 동(棟)의 건축물을 작성해야 할 경우, 공사별 분류 코드 뒤에 동별 번호를 기입하고, 1개동일 경우 '1'은 생략한다.
ex. A2-100, A2-200, A3-201, S2-200...../A1-000(X)

: 항목별 분류

① 구분은 100을 단위로 분류한다.
ex. A-000, A-100, A-200, S-000, S-100....

② 도면의 중요도에 따라 중요 도면을 앞쪽에 그리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도면을 뒤쪽에 배치함
ex. 기본도 - 외벽도 - CORE - ‥‥ - 상세도 - 외주도면

: 세분류

① 세분류가 필요할 경우 항목별 분류내에 10단위를 기준으로 분류함
② 세분류가 없을 경우 도면번호로 연결됨

: 도면번호

① 항목별분류 또는 세분류 내에서의 도면 일련번호
② 분류에 의해 구분된 모든 도면은 1번부터 시작한다.
ex. A-001, A-031, A-451 ....

1) 건 축 구분

구분

내용

도면번호

도면명

축척

비 고

a-000

일반사항

a001

표지, 도면목록표

none




a011

건축개요, 지적도, 위치도, 구적도

none



대지관련

a021

배치도, 대지종/횡단면도, 교통체계도

1/200-1/500




a031

바닥면적산출표

none




a041

공통가설시설물/가설전기

-


a-100

기본도

a101

평면도, 확대평면도

1/50¢rer¡er¡§i1/200




a151

입면도(4방향, 정면부터)

1/50¢rer¡er¡§i1/200




a161

주단면도(종,횡 2면이상)

1/50¢rer¡er¡§i1/200



마감상세

a171

재료마감표

none




a181

재료마감상세도

1/5,1/10


a-200

외벽상세도

a201

지하층 외벽상세도

1/30-1/50




a221

지상층 외벽상세도

1/30-1/50




a261

내벽 상세도

/30-1/50




a271

경사로 상세도

1/50




a261

승강기 상세도

1/50


a-300

core

a301

코어평면상세도

1/50




a331

코어단면상세도

1/50




a351

계단 평면상세도

1/50




a361

계단 단면상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