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공사

접지공사 비교검토

광심사 2011. 2. 17. 09:41

접지형태별 비교검토서

 

       접지형태

 

  항목

탄소저저항 접지모듈

코아 접지 (보링접지)

일반봉 + 저감제

특성

자연광물체인 특수 Carbon과 전도성, 안정성이 뛰어난 전해질의 비광속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지속의 수분을 흡수하여 저저항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대지를 깊이 천공하여 나동선이나 동복강선을 널고 화학저감제를 충진

 

 

대지를 일정 면적으로 터파기하여저감제를 타설하고 그위에 일반봉을 넣는 방식

 

 

성능

반영구적으로 저저항 접지특성을 유지함(영하 40도이하의 티벳 고원 3000m이상 산악지대에서 설치 검증)

 

 

설치초기에는 접지저항이 다소 낮아지나 대지의 공극에 따라 빗물과 지하수위의 변동에 따라 접지봉을 감싸고 있는 저감제가 유실되어 접지저항이 상승 할 수 있다. 특히 화강암과 전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토양에서는 주의 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토양에서는 비교적 양호함

 

 

 

안정성

• 강력한 습도 흡수력과 유지력으로 저저항유지

• 반복적인 강한 낙뢰에도 파손되거나 저항이

  증가하지 않는다.

• 계절 및 온도,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대지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대지에 대한

  정전용량이 크므로 Surge impedance가 획기적    으로 저감됨

• 순수 암반지역에서 저저항 특성이 탁월

• 등전위접지 구성시 접지망의 안정성 확보가 용이

 

 

• 접지체적을 넓게하여 접지저항 확보

• 시간 경과에 따라 초기 접지저항 유지가 어려움

• 계절 및 온도, 주위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 부식 및 전식에 취약하다.

 

 

 

 

 

 

 

• 계절 및 온도, 주위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 부식 및 전식에 취약하다

 

 

 

 

 

 

 

 

 

 

 

 

 

       접지형태

 

 항목

탄소저저항 접지모듈

코아 접지(보링접지)

일반봉 + 저감제

기술성

• 국내 발명 특허

• 국제 발명 특허

• 한국 전기연구원 인증

• 산업자원부 신기술 제28호 지정

• 근거없음

 

 

 

• KSC 9609 (현재 폐지됨)

 

 

 

시공성

•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시공방법 선택가능

• 타공정과의 간섭이 없다

• 설치면적이 작고 간편하여 공사기간 단축

 

 

• 현장의 변화에 적응성이 떨어진다.

• 타공정과의 간섭이 많다

• 설치면적이 작다

• 천공장비, 콤프레셔, 크레인 등 중장비 사용으로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함

• 설치면적이 크고 복잡하다.

• 타공정과의 간섭이 많다.

 

 

 

경제성

• 대지저항율 일정, 요구접지저항 25Ω일때

  총공사비는 300만원

 

 

• 대지저항율 일정, 요구접지저항 25Ω일때

  총공사비는 130~500만원

  (업체별 공사비 천차만별)

 

• 대지저항율 일정, 요구접지

  저항 25Ω일때

  총공사비는 80만원

 

친환경성

• 특수 Carbon 재료는 물리적으로 가장 안정된

 물질이므로 땅속에 녹거나 전해되는 일이 없어     변하지 않는 무공해성, 비독성, 비부식성의 친환경   소재임

 

• 동의 물성은 안정성이 떨어져 전식, 부식에

 약하고 토양을 요염시킴

• 지하수의 오염과 양어장의 오염 등 환경의

  폐혜가 우려됨

• 화학저감제 사용규제 (건축법)

• 동의 물성은 안정성이 떨어져    전식, 부식에 약하며 토양

  오염시킴

• 화학저감제 사용규제 (건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