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사

[스크랩] 감지기 작동 원리.

광심사 2010. 11. 14. 20:43

감지기 작동 원리

1.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 작동원리.

[공기의 팽창을 이용]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감열실, 다이어프램, 리크구멍(공) 및 접점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재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받으면 감열실내의 공기가 감지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여 다이어프램을

   압박함으로써 접점을 붙여 발신 신호 를 만들어 수신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게 된다. 난방등에 의한 실내

   온도의 완만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는 리크구멍(공)의 작용에 의해 외부 압력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접점이 닿지않게 되어 있다 .

-

2.광전식 감지기



광전식 감지기 작동원리

   광전식 감지기는 일반적으로 산란광 방식이 쓰여지며 구조 원리는 주 위의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연기

   만들어갈 수 있게 한 암상자의 한쪽에서 광원램프의 광원을 한 방향으로 모아 비추어주고 이 광속의

   산란광을 받는 방향에 광전 소자가 부착되어서(아래 그림) 밀폐된 상자안의 공기가 깨끗할 때에는 그

   산란이 없으므로 광전 소자는 빛을 전혀 받지 않고 아무런 변화도 생기지 않지만 화재시 연기가 밀폐된

   상장안에 진입하면 연기입자에 의해 광원 램프에서 빛이 산란 현상을 일으켜 광전 소자는 그 산란광의

   일부를 받아 전기 저항이 변하게 된다. 그림은 연기나 가스같은 것들이 밀 폐된 상자안에 들어가 산란광

   을 일으켜 전기 저항이 변화되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 저항의 감소에 따른 전류의

   흐름의 증가를 스위칭 회로로 검출하여 수신기(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것에 있어서 중계기를 통하여)로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 광전식 연기 감지기인 것이다.

-

3.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작동원리

   한정된 장소의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 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금속의 팽창을

   이용한 것. 금속 의 용적을 이용한 것, 가용 전연물을 이 용한 것, 반도에의 열효과를 이용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감도에 따라 특 종, 1종 및 2종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것들의 구조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바이메탈의 활곡을 이용한 것
바이메탈이 열을 받아 아래 그림과 같이 활모양으로 휘면서 접점을 닿게 하는 것이다

-

4.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 작동원리

   금속의 팽창 계수차를 이용한 것.
   그림과 같이 팽창 계수의 서로 다른 두금속을 각각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여 온도 변화시 각 금속내의

   선팽창의 차에 의해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출처 : 봄바다.
글쓴이 : 작은거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