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일부개정령안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일부개정령안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 중 “별표 4 소화설비의 소방시설 적용기준 란 제2호”를 “별표 5 제1호나목”으로 한다.
제4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 중 “호의 1”을 “호의 어느 하나”로 하고, 같은 항 제1호를 삭제하며, 같은 조 제3항 후단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 제2항제3호 또는 제4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4조제5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 중 “호의 1”을 “호의 어느 하나”로 한다.
제5조제1항제9호 단서 중 “종교시설등”을 “종교시설”로, “제외한다)으로서”를 “제외한다)로서”로 하고, 같은 항 제11호 각 목 외의 부분 중 “다음”을 “다음 각 목”으로 하며, 같은 항 제12호 각 목 외의 부분 본문 중 “다음의 각목”을 “다음 각 목”으로 한다.
제5조제1항제13호 각 목 외의 부분 중 “다음”을 “다음 각 목”으로 하며, 같은 호에 다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 내연기관의 연료의 양은 펌프를 20분(층수가 30층 이상 49층 이하는 40분, 50층이 이상은 60분) 이상 운전할 수 있는 용량일 것
제5조제4항제5호 중 “소방용기계기구의 승인 등에 관한 규칙 제31조 및 별표14 제30호에”를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가압수조식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로 한다.
제6조제1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① 배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배관 이음은 각 배관과 동등 이상의 성능에 적합한 배관이음쇠를 사용하고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의 이음을 용접으로 할 경우에는 알곤용접방식에 따른다.
1.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미만일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ㆍ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가.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나.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KS D 5301). 다만, 습식의 배관에 한한다.
다.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 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95)
2.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 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ㆍ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제6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각호의 1”을 “각 호의 어느 하나”로,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성능시험기술기준에”를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로 하고, 같은 조 제12항 전단 중 “적색으로”를 “적색으로 별표 2의 기준에 따라”로 한다.
제6조제13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 중 “다음 의”를 “다음 각 호의”로 하고, 같은 항 제1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송수구는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하되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제6조제14항 전단 중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또는 법 제42조제1항에 따라 성능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그 성능을 검증받은”을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분기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으로 한다.
제7조제1항제3호 각 목 외의 부분 중 “제1호 및”을 “제1호와”로 하고, 같은 조 제3항제2호 본문 중 “시동”을 “기동”으로 하며, 같은 호 단서 중 “시동표시”를 “기동표시”로 한다.
제8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중 “호의 1”을 “호의 어느 하나”로 하고, 같은 항 제1호 중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를 “층수”로 하며, 같은 항 제2호 단서를 삭제한다.
제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 중 “호의 1”을 “호의 어느 하나”로 하고,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를 삭제하며, 같은 항 제2호 중 “작동시키거나 작동을”을 “작동시키거나”로 하고, 같은 조 제3항제3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중 “각목”을 “각 목”으로 하며,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후단 중 “호의 1”을 “호의 어느 하나”로 하고, 같은 호 나목 각 세목 외의 부분 단서 중 “다음의 1”을 “다음 각 세목의 어느 하나”로 하며, 같은 호 라목 중 “무선통신보조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5) 제6조”를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제6조”로, “별표 4 소화활동설비의 소방시설 적용기준란 제5호”를 “별표 5의 제5호마목”으로 한다.
제11조 각 호 외의 부분 중 “호의 1”을 “호의 어느 하나”로 하고, 같은 조 제1호 중 “냉장창고의”를 “냉장창고 중 온도가 영하인”으로 한다.
제14조 전단 중 “2015년 2월 14일”을 “0000년 00월 00일”로 한다.
별표 1을 다음과 같이 한다.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제10조제2항 관련)
사용전선의 종류 |
공 사 방 법 |
1.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2.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3. 6/10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4.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5.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6. 300/500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180℃)
7.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8. 버스덕트(Bus Duct)
9.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
금속관․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 수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부터 25㎜ 이상의 깊이로 매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을 배선용 샤프트․피트․덕트 등에 설치하는 경우
나.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피트․덕트 등에 다른 설비의 배선이 있는 경우에는 이로 부터 15㎝ 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소화설비의 배선과 이웃 다른 설비의 배선사이에 배선지름(배선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는 가장 큰 것을 기준으로 한다)의 1.5배 이상의 높이의 불연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
내화전선 |
케이블공사의 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어너의 노즐에서 75㎜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인 불꽃으로 3시간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우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우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내화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사용전선의 종류 |
공 사 방 법 |
1.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2.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3. 6/10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4.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5.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6. 300/500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180℃)
7.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8. 버스덕트(Bus Duct) 9.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
금속관·금속제 가요전선관·금속덕트또는 케이블(불연성덕트에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공사방법에 따라야 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배선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피트․덕트 등에 설치하는 경우
나.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피트․덕트 등에 다른 설비의 배선이 있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15㎝ 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소화설비의 배선과 이웃하는 다른 설비의 배선사이에 배선지름(배선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는 지름이 가장 큰 것을 기준으로 한다)의 1.5배 이상의 높이의 불연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
내화전선․내열전선 |
케이블공사의 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816±10℃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부터 150㎜ 이하일 것. 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별표 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소화배관 적색 표시방법(제6조제12항 관련)
1. 배관 전체 적색 표시 2. 배관을 띠, 화살표 등으로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타 배관과 구분이 가능하도록 적색으로 표시 ❍ 예1) ❍ 예2) ❍ 예3) ❍ 예4) ❍ 예5) |
※ 비고(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인정할 수 있는 범위)
1. 상기 예시 이외 기타 적색으로 어느 누구나 소화배관임을 구분 가능하도록 표 시한 경우
2. 적색띠 등의 폭 및 간격은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조정
3. 어느 방향에서나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작업공간에서 확인가능 할 수 있는 경우
부칙
(시행일) 이 기준은 고시한 날로부터 2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
개 정 안 | |||||||||||||
제2조(적용범위)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9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4 소화설비의 소방시설 적용기준 란 제2호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는 이 기준에서 정하는 규정에 따라 설비를 설치하고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 |
제2조(적용범위) -------------------------------------------------------------------------------------------------------------------- 별표 5 제1호 나목---------------------------------------------------------------------------------------------. | |||||||||||||
제4조(수원) ① (생 략) |
제4조(수원) ① (현행과 같음) | |||||||||||||
②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제1항에 따라 산출된 유효수량 외에 유효수량의 3분의 1 이상을 옥상(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된 건축물의 주된 옥상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 --------------------------------------------------------------------------------------------------------------------------------------------------------------------------. ------------- 호의 어느 하나--------------------------------------. | |||||||||||||
1. 옥상이 없는 건축물 |
1. <삭 제> | |||||||||||||
2. ∼ 8. (생 략) |
2. ∼ 8. (현행과 같음) | |||||||||||||
③ 제2항 단서에도 불구하고 층수가 30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수원은 제1항에 따라 산출된 유효수량 외에 유효수량의 3분의 1 이상을 옥상(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된 건축물의 주된 옥상을 말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
③ ----------------------------------------------------------------------------------------------------------------------------------------------------------------------------------------------------------. 다만, 제2항제3호 또는 제4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
④ (생 략) |
④ (현행과 같음) | |||||||||||||
⑤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을 수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설비의 전용수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⑤ ----------------------------------------------------------------------------------. ------------- 호의 어느 하나-----------------------------------. | |||||||||||||
1.ㆍ2. (생 략) |
1.ㆍ2. (현행과 같음) | |||||||||||||
⑥ㆍ⑦ (생 략) |
⑥ㆍ⑦ (현행과 같음) | |||||||||||||
제5조(가압송수장치) ①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제5조(가압송수장치) ① -----------------------------------------------------------------------------------------------------. | |||||||||||||
1. ∼ 8. (생 략) |
1. ∼ 8. (현행과 같음) | |||||||||||||
9. 기동장치로는 기동용수압개폐장치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을 설치할 것. 다만, 아파트ㆍ업무시설ㆍ학교ㆍ전시시설ㆍ공장ㆍ창고시설 또는 종교시설등(제4조제2항에 따라 옥상수조를 설치한 대상은 제외한다)으로서 동결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있어서는 기동스위치에 보호판을 부착하여 옥내소화전함 내에 설치할 수 있다. |
9. --------------------------------------------------------------------------------. ----------------------------------------------------------- 종교시설------------------------------------------- 제외한다)로서-------------------------------------------------------------------------------------------------------. | |||||||||||||
10. (생 략) |
10. (현행과 같음) | |||||||||||||
11.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가압송수장치에는 다음의 기준에 따른 물올림장치를 설치할 것 |
11. --------------------------------------------------------- 다음 각 목------------------------------------- | |||||||||||||
가.ㆍ나. (생 략) |
가.ㆍ나. (현행과 같음) | |||||||||||||
12. 기동용수압개폐장치를 기동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의 각목의 기준에 따른 충압펌프를 설치할 것. 다만, 옥내소화전이 각층에 1개씩 설치된 경우로서 소화용 급수펌프로도 상시 충압이 가능하고 다음 가목의 성능을 갖춘 경우에는 충압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12. ----------------------------------------------- 다음 각 목-----------------------------------. -------------------------------------------------------------------------------------------------------------------------------------------------------------------. | |||||||||||||
가.ㆍ나. (생 략) |
가.ㆍ나. (현행과 같음) | |||||||||||||
13.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
13. ----------------------------- 다음 각 목----------------------------- | |||||||||||||
가.ㆍ나. (생 략) |
가.ㆍ나. (현행과 같음) | |||||||||||||
<신 설> |
다. 내연기관의 연료의 양은 펌프를 20분(층수가 30층 이상 49층 이하는 40분, 50층이 이상은 60분) 이상 운전할 수 있는 용량일 것 | |||||||||||||
14.ㆍ15. (생 략) |
14.ㆍ15. (현행과 같음) | |||||||||||||
②ㆍ③ (생 략) |
②ㆍ③ (현행과 같음) | |||||||||||||
④ 가압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④ ---------------------------------------------------------------------------. | |||||||||||||
1. ∼ 4. (생 략) |
1. ∼ 4. (현행과 같음) | |||||||||||||
5. 가압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소방용기계기구의 승인 등에 관한 규칙 제31조 및 별표14 제30호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할 것 |
5. ------------------------------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가압수조식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 | |||||||||||||
제6조(배관 등) ① 배관은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 또는 배관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음매 없는 동 및 동합금(KS D 5301)의 배관용 동관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ㆍ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하여야 한다. |
제6조(배관 등) ① 배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배관 이음은 각 배관과 동등 이상의 성능에 적합한 배관이음쇠를 사용하고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의 이음을 용접으로 할 경우에는 알곤용접방식에 따른다. | |||||||||||||
<신 설> |
1.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미만일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ㆍ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 |||||||||||||
|
가.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 |||||||||||||
|
나.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KS D 5301). 다만, 습식의 배관에 한한다. | |||||||||||||
|
다.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 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95) | |||||||||||||
<신 설> |
2.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ㆍ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 |||||||||||||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성능시험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 |
② ----------------------- 각 호의 어느 하나--------------------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 | |||||||||||||
1. ∼ 3. (생 략) |
1. ∼ 3. (현행과 같음) | |||||||||||||
③ ∼ ⑪ (생 략) |
③ ∼ ⑪ (현행과 같음) | |||||||||||||
⑫ 배관은 다른 설비의 배관과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거나, 그 배관표면 또는 배관 보온재표면의 색상은 적색으로 소방용설비의 배관임을 표시하여야 한다. |
⑫ ------------------------------------------------------------------------------------------------------- 적색으로 별표 2의 기준에 따라 소방용설비의 배관임을 표시하여야 한다. | |||||||||||||
⑬ 옥내소화전설비에는 소방차로부터 그 설비에 송수할 수 있는 송수구를 다음 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
⑬ ----------------------------------------------------------------- 다음 각 호의 -----------------------------. | |||||||||||||
1.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하되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 |||||||||||||
2. ∼ 6. (생 략) |
2. ∼ 6. (현행과 같음) | |||||||||||||
⑭ 분기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또는 법 제42조제1항에 따라 성능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그 성능을 검증받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
⑭ --------------------------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분기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 |||||||||||||
제7조(함 및 방수구 등)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함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제7조(함 및 방수구 등) ① ----------------------------------------------------------------. | |||||||||||||
1.ㆍ2. (생 략) |
1.ㆍ2. (현행과 같음) | |||||||||||||
3. 제1호 및 제2호에도 불구하고 제2항제1호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로서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공간의 경우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
3. 제1호와 -------------------------------------------------------------------------------------------------------------------------------------------------. | |||||||||||||
가.ㆍ나. (생 략) |
가.ㆍ나. (현행과 같음) | |||||||||||||
② (생 략) |
② (현행과 같음) | |||||||||||||
③ 표시등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③ ---------------------------------------------------. | |||||||||||||
1. (생 략) |
1. (현행과 같음) | |||||||||||||
2. 가압송수장치의 시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하되 적색등으로 할 것. 다만, 자체소방대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령」별표8에서 정한 소방자동차와 자체소방대원의 규모를 말한다) 가압송수장치의 시동표시등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
2. -------------- 기동---------------------------------------------------------------------------------. ---------------------------------------------------------------------------------------------------------------------------------------------- 기동표시--------------------------. | |||||||||||||
3. (생 략) |
3. (현행과 같음) | |||||||||||||
④ (생 략) |
④ (현행과 같음) | |||||||||||||
제8조(전원) ① (생 략) |
제8조(전원) ① (현행과 같음) | |||||||||||||
②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옥내소화전설비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2 이상의 변전소(「전기사업법」 제67조에 따른 변전소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거나 하나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와 가압수조방식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 ------- 호의 어느 하나--------------------------------------------------------------------------. ----------------------------------------------------------------------------------------------------------------------------------------------------------------------------------------------------------------------------------------------------------------------------------------. | |||||||||||||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이상인 것 |
1. 층수-------------------------------------------- | |||||||||||||
2. 제1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 다만, 차고ㆍ주차장ㆍ보일러실ㆍ기계실ㆍ전기실 및 이와 유사한 장소의 바닥면적은 기준면적에서 제외한다. |
2. -----------------------------------------------------------------------------------------. <단서 삭제> | |||||||||||||
③ (생 략) |
③ (현행과 같음) | |||||||||||||
제9조(제어반) ① 옥내소화전설비에는 제어반을 설치하되,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제9조(제어반) ① ------------------------------------------------------------------------------------------. ------------- 호의 어느 하나--------------------------------------------------------------------------------------------------. | |||||||||||||
1. ∼ 4. (생 략) |
1. ∼ 4. (현행과 같음) | |||||||||||||
② 감시제어반의 기능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3호 및 제6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
② ------------------------------------------------------. <단서 삭제> | |||||||||||||
1. (생 략) |
1. (현행과 같음) | |||||||||||||
2. 각 펌프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할 것<개정 2008.12.15> |
2. --------------------------- 작동시키거나 ------------------------------------------- | |||||||||||||
3. ∼ 6. (생 략) |
3. ∼ 6. (현행과 같음) | |||||||||||||
③ 감시제어반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③ -------------------------------------------------------. | |||||||||||||
1.ㆍ2. (생 략) |
1.ㆍ2. (현행과 같음) | |||||||||||||
3. 감시제어반은 다음 각목의 기준에 따른 전용실안에 설치할 것. 다만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와 공장, 발전소 등에서 설비를 집중 제어ㆍ운전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중앙제어실내에 감시제어반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3. ----------------- 각 목-----------------------------------. ------------- 호의 어느 하나-------------------------------------------------------------------------------------------------------------------------------------------------. | |||||||||||||
가. (생 략) |
가. (현행과 같음) | |||||||||||||
나. 피난층 또는 지하 1층에 설치할 것. 다만, 다음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상 2층에 설치하거나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에 설치할 수 있다. |
나. --------------------------------. ----- 다음 각 세목의 어느 하나--------------------------------------------------------------------------------. | |||||||||||||
(1)ㆍ(2) (생 략) |
(1)ㆍ(2) (현행과 같음) | |||||||||||||
다. (생 략) |
다. (현행과 같음) | |||||||||||||
라. 무선통신보조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5) 제6조에 따른 무선기기 접속단자(영 별표 4 소화활동설비의 소방시설 적용기준란 제5호에 따른 무선통신보조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에 한한다)를 설치할 것 |
라.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제6조---------------------------- 별표 5의 제5호 마목---------------------------------------------------------------------- | |||||||||||||
마. (생 략) |
마. (현행과 같음) | |||||||||||||
4. (생 략) |
4. (현행과 같음) | |||||||||||||
④ (생 략) |
④ (현행과 같음) | |||||||||||||
제11조(방수구의 설치제외) 불연재료로 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으로서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곳에는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제11조(방수구의 설치제외) ------------------------------------------------------- 호의 어느 하나--------------------------------------------------------------. | |||||||||||||
1. 냉장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
1. 냉장창고 중 온도가 영하인 ------------------------------ | |||||||||||||
2. ∼ 5. (생 략) |
2. ∼ 5. (현행과 같음) | |||||||||||||
제14조(재검토 기한)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고시 발령 후의 법령이나 현실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 이 고시의 폐지, 개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는 기한은 2015년 2월 14일까지로 한다. |
제14조(재검토 기한) ------------------------------------------------------------------------------------------------------------------------------------------------------------------------------------ 0000년 00월 00일---------. | |||||||||||||
|
| |||||||||||||
[별표 1]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제10조제2항 관련) |
[별표 1]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제10조제2항 관련) | |||||||||||||
1. 내화배선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어너의 노즐에서 75㎜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인 불꽃으로 3시간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우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우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화전선의 성능 시험기준에 적합한 것 |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어너의 노즐에서 75㎜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인 불꽃으로 3시간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우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우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내화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 |||||||||||||
2. 내열배선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816±10℃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규격(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부터 150㎜ 이하일 것. 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시험기준에 적합할 것 |
2. 내열배선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816±10℃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부터 150㎜ 이하일 것. 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 |||||||||||||
<신 설> |
[별표 2] 소화배관 적색 표시방법(제6조제12항 관련)
※ 비고(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인정할 수 있는 범위) 1. 상기 예시 이외 기타 적색으로 어느 누구나 소화배관임을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한 경우 2. 적색띠 등의 폭 및 간격은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조정 3. 어느 방향에서나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작업공간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경우 가능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