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시퀀스 제어의 정의와 종류
- 1. 시퀀스 제어의 정의와 종류
조작의 순서를 미리 정해놓고 이에 따라 조작의 각 단계를 차례로 행하는 제어를 시퀀스 제어 (sequence control) 라 한다.
1> 릴레이(relay sequence) : 유접점 릴레이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계적 제어
2> 로직 시퀀스(logic sequence) : 반도체 스위칭(switching) 소자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무접점 제어
3>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PC의 CPU로 시퀀스 회로를 프로그램화 (soft were)한 것으로 공장 자동화(FA)설비에 널리 이용된다.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시퀀스 제어의 요소
- 제어요소는 입력기구,출력기구,보조기구로 나누어지며 또 접점기구,구동기구,표시기구로
나누기도한다.
1> 입력기구 : 수동 스위치 ,검출 스위치및 센서
2> 출력기구 : 전자 개폐기(MC),전자 밸브(SV),솔래노이드(sol),표시 램프,경보기구 (Buzzer,bell)
3> 보조기구 :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보조 릴레이, 논리소자,타이머 소자,입출력 소자, PLC 장치등
4> 접점기구 : 회로를 개폐하여 시퀀스 회로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구이다
ㄱ. a 접점 : 원래는 열려있고 조작할때 닫히는 접점으로 메이크 접점(make- contact)이라고도함
ㄴ. b 접점 : 원래는 닫혀있고 조작할때 열리는 접점으로 브레이크접점(break- contact) 이라고도 함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스위치(SWITCH)
- 회로의 개폐, 또는 접속 변경 등의 작업 명령용 입력기구이다.
1> 복귀형 수동 스위치 : 조작중에만 접점 상태가 변하고 조작을 중지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스위치로서 push-button switch(PBS<PB<BS)와 foot switch가 있다
2> 유지형 수동 스위치 : 조작하면 접점의 개폐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텀블러 스위치, 셀렉터 스위치 등이있다.
3> 검출 스위치 : 제어 대상의 상태, 또는 변화를 검출하는 리밋 스위치, 센서가 있고 위치 압력,힘,빛,온도,수위,속도,전압,전류 등의 물리량의 검출과 고장,제품 수리등의 검출에 사용되며 limit sw,photo sw,proximity sw등이있다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전자 계전기
- 전자력에 의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를 전자 계전기(relay)라 하며
제어용의 보조 릴레이,용량이 크고 출력용으로 전자 개폐기(MC)가 있다.
-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논리 소자
1> AND 회로 : 입력신호 A,B가 모두 있을때 출력 신호가 생기는 회로이며 스위치 직렬의 논리곱 회로이다.
2> OR 회로 : 입력 A.B중 하나만 있어도 출력이 생기는 판단기능을 갖는 논리이며 스위치 병렬의 논리합 회로이다.
3> NOT 회로 : 입력과 출력의 상태가 반대로 되는 상태 반전, 즉 부정의 판단기능을 갖는 회로이며 인버터(inverter)라고도 한다
4>NOR 회로 : OR회로와 NOT회로의 합으로서OR 회로를 부정하는 판단기능을 갖는 회로이다.
5>NAND 회로 : AND+NOT 의 조합 회로이며 AND 회로를 부정하는 판단기능을 갖는 만능 회로이다.
6>EOR 회로: 두 입력 상태가 같을때 출력이 없고 ,두 입력 상태가 다를때 출력이 생기는 회로를 배타 논리합(exclusive OR) 회로라 한다.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타이머 소자
- 입력신호의 변화시간보다 설정 시간 t 만큼 뒤져서 출력신호의 변화가 나타나는 회로를 시한
회로(time delay timer)라 하며 RC 회로의 시상수와 충방전에 의하여 시간이 조정된다.
1> 동작사간이 늦은 시한 동작(순시복구) 회로(on delay timer)
2> 복구시간이 늦은 시한 복구(순시동작) 회로(off delay timer)
3> 일정시간만 동작되는 단안정(one shot) 회로
4> 동작과 복구가 모두 늦은 뒤진 회로 ==> 1> + 2>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유지회로
- 릴레이 자신의 접점,혹은 되먹임 회로에 의하여 회로를 유지하며 변환 신호를 상태
신호로 변환한다.
-
-1){ thisSrc = this.src; ns = thisSrc.lastIndexOf('='); ne = thisSrc.length; orgImg = thisSrc.substr(ns + 1, ne); this.src = './dnImage/' + orgImg;}" src="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8318685" width=9 height=13 LocalFile="yes">인터록 회로
- 조작자의 안전과 기기의 보호를 목적으로 자기 접점이나 자기 회로로 관련 기기의 동작을
금지 시키는 회로를 인터록(inter lock) 회로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