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사

[스크랩] 엔진펌프의 이해와 구성방법

광심사 2014. 4. 14. 16:03

첨부파일 엔진펌프의 이해 1.hwp

엔진펌프의 이해와 구성방법

 

1. 소방펌프

     소방용 펌프는 모타펌프이든 엔진펌프이든 소방펌프의 특성, 즉 소방펌프에서 요구하는 유량과 양 정을 소화할 수 있는 펌프(소

     방 곡선의 만족)를 소방펌프로 이해할 수 잇다.

1.1. 엔진펌프의 이해

     소방펌프로 사용되는 모타펌프와 엔진펌프의 차이점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펌프의 동력원이 상 용전원(한전전원)을 동력원으

     로 하는 펌프를 모타펌프, 내연기관(엔진)의 동력원을 이용하는 경우를 엔진펌프로 구분 이해할 수 있다.

 

 

 

1.2.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경우 엔진펌프의 이해

    엔진펌프를 비상전원(비상용 발전기)과의 비교를 해보면 아래의 그림처럼 도해 해볼 수 있다.

    <그림2> 에서와 같이 엔진펌프는 비상용 발전기에 적용되는 엔진과 소방용으로 적용하는 펌프를 타 등을 제외하고 엔진의 동

    력원을 펌프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펌프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1.3. 동력전달과정의 이해

     엔진펌프를 비상전원(비상용 발전설비)과 소화용수를 토출하기 위한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그림3> 과 같이 비상전원(비상

     동력원)의 설치시와 엔지펌프의 설치시의 동력 전달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절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전기 전원으로서 모타를 기동 하기 위하여는 모타 용량의 2.5~3배 이상의 기동 부하를 요구 하는바 모타 펌프의 설치시

       예비 전원 발전기의 동력은 모타 용량의 2.5~3배 이상의 엔진을 적용하여 발전기의 용량을 산정하여야 하며, 엔진펌프의 선정

      시 모타의 기동부하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펌프에서 필요로 하는 실 부하 용량의 동력만을 산정하면 된다.

2. 엔진펌프 소화설비에서의 구성 유형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방법은 주로 ① 엔진펌프의 단독(ON-OFF 운전방법) 설치, 엔진펌프와 충압펌프의 설치 방법,

      ③ 주모타펌프와 예비(엔진)펌프, 충압펌프 설치, ④ 주엔진펌프 와 예비 엔진펌프 즉, 엔진펌프 2 대와 충압펌프의

     설치로 소화 설비를 구성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기타 설 치하고자 하는 현장의 특성에 의한 동시(병열)부하 운전, 순차부

     하 운전 등 다양한 운전방법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특정 운전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엔진펌프의 운전방법은 주로 압력수조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압력수조를 설치하지 않고 토출 배관에 압력스위치를 설치

      하는 방법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압력수조 설치 방법에 국한 이해 를 돕고자 한다.

 

 

2.1. ON-OFF 운전

     소화설비를 모터펌프 또는 엔진펌프 단독 운전의 경우와 모터펌프와 예비전원으로서 엔진펌프 를 같이 설치하여 소화설비를 구

     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엔진펌프와 관련 운전 방법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2.1.1 단독 ON-OFF 운전

    ① ON-OFF 운전

          소화설비 중 소화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ON-OFF 시킴으로 엔진펌프를 수동 동작 소화용수를 공급하

          는 방법이며, 충압펌프 및 압력챔버를 설치하지 않는 소화설비 구 성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층 혹은 기타 일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전함과 연동 되어 수동으로 ON-OFF시키는 방법으로서 엔진펌

          프에서 의 수동 운전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엔진펌프에서의 수동 운전은 장비의 유지 및 보수, 시운전을 위한 운전으로 인식되어야 된다.

    ② 필요 전원

          ON-OFF 운전 방식에 있어서의 필요 전원은 단상 220V 전원으로서 축전지의 자동충전 전원 및 예열히타 전원, ON-OFF 회

          로 구성 전원으로 주로 1Kw 미만의 전원을 필요로 하나 적용 하는 엔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원의 용량이 더 큰 용량을 필

          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소방용 엔진펌프의 운전반에서는 ON-OFF 회로 구성의 AC220V 입력 2단자가 인출되어 있거나 운전 접점(시그널)은 무전

          원의 점만을 필요로 하며(ON-OFF 회로 구성을 엔진펌프 운전반에 회로를 구성 하거나 수신기에 회로를 구성 하는 방

          법에 따라서  입력 전원 단자 혹은 접점의 인출방식 구분), 소방펌프의 운전시 수신기에 운전 확인 램프를 점등시켜하므

          로  원 공급단자 또는 무접점 2단자와 확인 램프용 연결 2단자 등 4단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2.1.2 모터펌프와 엔진펌프 연동의 ON-OFF 운전

 

 

 

   ① 운전의 개요

        운전 방법은 단독 ON-OFF 방법과 동일하나 모터펌프의 운전 불가능시를 대비하여 예비 전 원으로 엔진펌프를 설치하는 운전

        방법으로 이해 할 수 있다.

        ON-OFF 운전뿐만 아니라 소화설비의 전 운전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는 정상운전이 될 수 없 는 경우는 모터, MCC반의 회

        로, 소화  배관상의 문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엔진펌 프와 관련된 부분만 설명 하고자 한다.

        모터펌프의 운전 불가능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을 수 있다.

         ㉮ 상용(한전)전원의 단전 경우

         ㉯ 모터의 상용전원 스위치를 OFF의 경우

         ㉰ 모터 회로상 접촉기의 오손, 과전압계전기의 동작(트립) 경우

         ㉱ 모터의 오손

         ㉲ 기타 수리중의 이유로 필요시 운전하지 못할 경우

       또한 모터펌프는 운전이 되나 정상적인 소화용수의 토출이 되지 않는 경우도 나타날 수 있습 니다. 이러한 경우는 펌프에서의

       오 의 경우로서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 펌프 임펠라의 오손

         ㉯ 상 변환으로 인한 펌프의 역 회전

         ㉰ 펌프 내에 에어(AIR)의 고임(주로 축봉장치가 원인이 될 수 있음)

         ㉱ 펌프 축봉장치 외의 소화용수 누수(동파 등의 원인에 의한 펌프의 오손)

        펌프의 정상적인 소화 운전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주로 관리자의 책임 범위에 있는 사항 이라고는 하나 어떠한 원인이든 정상

        적인 소화 활동을 할 수 없는 경우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엔진펌프를 설치하는 운전으로 이해할 수 있

        다.

    ② 엔진펌프의 운전 조건

       모터펌프의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할 경우에 대비하는 소화설비에 있어서 엔진펌프의 운전 조 건은 다음과 같으나 ON-OFF

       운전의 경우는 펌프의 운전을 "ON" 시킬 경우에 국한 된다.

         ㉮ 상용전원의 단전

         ㉯ 모터펌프는 운전되나 정상적인 소화용수를 토출하지 못할 경우(셋팅 압력 이하의 운전이 될 경우)

    ③ 회로의 구성시 필요 사항

         ㉮ ON-OFF 운전 회로의 구성은 DC 전원으로 구성 되어야할 것이며 이에 따른 DC 전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축전지 및 충

             전장치를 필요로 합니다. 충전기의 선택시 단순 충전기 의 선택 보다는 축전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충전기의 선택도

             보다 필요 할 것이며 충전 기의 기능은 옵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충전기의 주 기능은 축전지의 안정적인 충전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하고 있으며 옵션 기능 으로서는 과전압, 저전압(12V or

             24V 이하로의 전압시)시의 알람 또는 접점 인출 기능이 있 는 충전기의 선택이라면 축전지의 감시에 보다 효율성을 가질 수

             도 있다.

         ㉯ 펌프의 운전시 소화배관의 압력 감시를 위한 압력 감시기 또는 압력 스위치를 필요로 하며 압력계의 설치시 주로 예비 접

             점을 포함한 2조의 접점으로 설치를 한다.

              현재 일반적인 소화설비는 부식에 의한 녹물의 발생과 이에 따른 불순물의 생성 등으로 배 관상에 설치되는 압력계 등의

              정 적인 동작에 장애가 발생활수도 있으며 최소화 하기 위하 여 2조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시중 유통되고 있는

              화공약품 중  음용할 수 있는 약품이 있어 소화 용수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곳도 있다. 이처럼 음용 가능한 화공약품 을 소

              화용수와 희석할 경우 소화배관의 부식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상 청수을 유지할 수 있 으면 이물질 생성 등의 문제는 최소

              화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건물도 있습니다.

      모터펌프와 엔진펌프 연동의 ON-OFF 운전은 모터펌프의 정상적인 운전이 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 하는 예비 펌프 설치의 소화

      설비로서 이해되며 엔진펌프의 운전조건은 모터펌프를 운전 시켰으나 모터펌프가 운전되지 않거나 운전된다 하더라고 정격압

      력(설정 압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운전하 는 조건부 운전이다.

2.2. 엔진펌프 및 충압펌프 설치

      소화설비를 주 모타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엔진펌프를 주펌프로 대체하며 충압펌프와 같이 설치 소화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

       력챔버의 스위치 접점 이용)하여 자동 기동/정지하는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운전방식은 상용 전원을 펌프의 동력원으로 하는 주 모타펌프의 설치를 하는 않는 방법으로서 장비 설비비 및 이에 따르는 

       동력전원의 설비 비용 등의 절감 잇점을 가지고 있다

 

 

      ① 엔진펌프 및 충압펌프 운전

            압력수조 방법으로서 주 엔진펌프 와 충압펌프, 압력챔버를 설치하여 소화배관내의 압력차이를 압력 챔버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의 단락 접점을 이용하여 엔진펌프의 자동 기동/정지 운전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용전원과는 관계하지 않는 운전방법

            이다.

      ② 필요전원

            엔진펌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은 단상 220V을 필요로 하며, 축전지의 자동 충전용 전원 및 예열히타 전원용 필요로 한다.

            엔진펌프와 충압펌프의 회로 구성을 동일함에 구성할 때는 별도의 전원 입력은 필요로 하지 않으며 충압펌프의 동력 입력

            전원에서 220V를 인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이 방법의 설치시 수신기와의 연결 단자는 엔진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엔진펌프 운전 확인 접점 2단자, 충압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충압펌프 운전 확인 램프용 접점 2단자 등 8 단자을요로 한다.

 

2.3. 모타펌프 및 엔진펌프, 충압펌프 설치

     소화설비를 주 모타펌프 및 엔진펌프, 충압펌프와 같이 설치 소화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하 여 자동 기동/정지하는 설치 방법으

     로서 주로 권장하는 방법이다.

     ① 모타펌프 및 엔진펌프, 충압펌프 운전

          소화 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 운전방법으로 소화배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로 낮아질시 모 터 펌프의 운전을 우선으로

          하고 모터펌프의 제 기능이 되지 않을시 소화배관의 압력이 엔진 펌프의 운전점으로 낮아지면 운전하는 방법이다.

          각 펌프의 운전점의 분활 조정은 압력탱크의 압력 스위치에서 이루어 진다.

     ② 필요 전원

         엔진펌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은 단상 220V을 필요로 하며, 축전지의 자동 충전용 전원 및 예열히타 전원용 필요로 한다.

         또한 엔진펌프와 주 모타펌프, 충압펌프의 회로 구성을 동일함에 구성 할때는 별도의 전원 입 력은 필요로 하지 않으며 주 모

         타펌프 및 충압펌프의 동력 입력 전원에서 220V를 인출 회로 를 구성하고 있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이 방식의 설치시 수신기와의 연결 단자는 주 모타 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주 모타펌프 운전 확인 램프용 접점 2단자, 엔진펌

           프 운전 접점 2단자, 엔진펌프 운전 확인 접점 2단자, 충압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충압펌프 운전 확인 램프용 접점 2단자 등

           12단자을 필요로 한다.

           이 방법에서 필요로하는 접점은 3개의 접점이다.

           소방펌프의 설치시 설치하고자한 소방펌프의 유량이 많을시 2대로 유량을 나누어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2대를 설치할시 필요로 하는 유량을 1/2하고 동일 양정의 펌프를 선정하고 있으며, 2대 의 펌프를 동시 혹은 순차 운전

           시 유량은 합산이 되나 양정은 합산이 되지는 않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주펌프 및 예비펌프의 운전 접점을 동일 접점에서가 아닌 별도로 구분된 접 점에서 순차 접점에 의한 설정을

           할때 주펌프 및 예비펌프가 순차에 의한 동시 운전점이 나타 날 수 있으며, 이때 합산된 일시적 과유량에 의한 배관내의

           140%를 초과 하는 체절압력이 발생할 수도 있다.

 

2.4. 엔진펌프 2대와 충압펌프 설치

     주펌프를 엔진펌프로 선정하고 예비펌프 또한 동일한 엔진펌프로의 선정, 충압펌프와 설치하는 방법이다.

 

    ① 엔진펌프 2대와 충압펌프 설치

        주로 고가수조와 관련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으로서 2.2.항의 엔진펌프 및 충압펌프 설치시와 동일한 방법으로서 차

        이점은 엔진펌프 2대를 설치하되 한대의 운전시 다른 한대는 운전 대기를 하고 이미 운전 중인 엔진펌프의 이상 운전 등에 의

        한 정지에 대비하는 예비펌프로 이 해할 수 있다.

    ② 필요 전원

        엔진펌프 및 충압펌프 설치시와 동일하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주 엔진펌프와 예비 엔진펌프의 운전 접점은 각각의 신호를 받아 운전하는 방법으로서 주 엔 진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예비 엔

        진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엔진주펌와 예비 엔진펌프 운전 표시 램프 각각 2단자씩 4단자와 충압펌프의 운전 2단자 확인 2단자

        로 구분 12단자를 필요로 한다.

 

 

 

                                                                              펌> www.sshef.com

 

 

출처 : 소방용 엔진펌프
글쓴이 : 소방펌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