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형과 분산형 방재 SYSTEM 비교표
형 별 항 목 |
집 합 형 |
분 산 형 | |
S 사 |
SYSTEM 명 |
D-MUX 3000 SYSTEM |
INTEC’21, HI-MUX SYSTEM |
중 사 |
입력전원 |
AC 110/220V, 50~60Hz |
DC 24V (수신기에서 공급) |
1대당 회로수 |
입력 32, 출력 22회로 |
INTEC’21 - 입,출력회로수 각3회로 HI-MUX - 입,출력회로수 각2회로 | |
중계기 설치장소 |
전기 PIT등 방화상 유효한 장소 |
별도의 중계기 격납함에 소형 중계기를 내장함 | |
회로 증감방식 |
기본 UNIT에 8회로단위 CARD를 삽입하여 필요한 회로수를 내장함 |
필요한 회로수에 대한 중계기 수량을 각각 설치함 | |
중계기의 전원장치 |
AC 110V 또는 220V를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여, 내부에 정류기 및 비상축전지를 내장하고 있음 |
방재실에 설치된 R형 수신기의 전원 장치로부터 DC 24V를 공급함으로 중계기에는 전원장치가 없음 | |
전원공급 계통사고시 BACK UP |
중계기에 내장된 예비전원용 축전지로 자동전환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함 |
중계기 전원 공급선로의 단선, 단락시에는 해당 계통의 전체 SYSTEM이 DOWN됨 | |
통신계통사고시 BACK UP 기능 |
통신선로의 단선, 단락이나 수신반이 DOWN되었을 경우에는 중계기 독립제어 기능으로 자동절환되어 정상적인 방재임무를 수행한다. |
통신선로의 단선에 대비하여 2중포설에 의한 LOOP BACK기능을 보유하며 통신선로의 단락시를 대비하여 ISOLATOR를 추가설치함 | |
부하량에 따른 전원공급 선로의 굵기 설정 |
각동 또는 각층에서 AC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중계기와 LOCAL기기장치간의 거리가 짧아 거리에 따른 전압강하율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
방재실의 수신기로부터 LOCAL에 설치된 표시등,경종,싸이렌,댐파까지 부하전원을 DC 24V로 공급해야 하므로 부하전류가 크거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선 굵기가 배례적으로 굵어진다 | |
수 사 |
입력전원 |
AC 110/220V, 50~60Hz |
|
채 널 수 |
1 채널 | ||
중계기와 수신기의 간선수 |
소계 8선 |
| |
중계기 이상 자동검출기능 |
|
| |
아날로그 감지기에 의한 농도,온도 검출기능 및 예비경보기능 |
없음 (별도의 아날로그 수신반을 설치해야 함) |
있음 | |
설 및 유 |
설치공사방법 |
2~3개층의 방재설비용 기기장치를 전기PIT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
각 LOCAL기기장치 내부에 중계기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격납함에 중계기를 내장하는 방식으로 설치개소가 많아진다. |
유지보수 |
중계기의 특정회로 부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CARD를 교체하면 되므로 수리및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
중계기 이상 발생시에는 새로운 중계기로 교체해야 함 | |
적용대상 건축물 |
|
| |
설치공사비 |
중계기의 가격은 분산형에 비하여 적게 소요되나 배관, 배선비용은 분산형보다 약간 많이 소요됨. |
배관,배선비용은 집합형에 비하여 적게 소요되나 중계기의 가격은 집합형보다 많이 소요됨 |
'소방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화재감지기 종류별 설치장소. (0) | 2010.11.14 |
---|---|
[스크랩] 화재감지기 모양별 명칭. (0) | 2010.11.14 |
[스크랩] 자동화재탐지설비 (0) | 2010.11.14 |
[스크랩] R형 화재 수신기 중에서,... (0) | 2010.11.14 |
[스크랩] P,R형 수신기 결선도. (0) | 201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