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좌에서는 배스(루어) 낚시 중에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 가능한 루프(고리) 매듭에 대하여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당장 생각을 해 보면 입문자 여러분들께서는 낚시를 하면서 루프(고리)가 필요한 상황이 언제일지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이 루프 매듭법들은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당장 우리 골드배스의 자랑인 모던리그를 사용할 때에, 훅 스냅을 사용하지 않고 라인에 루프를 만들어 이 루프를 이용하여 리그를 연결하면 청태 등이 모던리그 헤드에 붙는 것도 막을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을 살릴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드롭샷 변형 채비 중에, 배스가 너무 예민한 상황에서 드롭샷 바늘을 라인 원줄에 바로 직결하는 것이 아니라, 원줄에 루프를 만들고 이 루프에 가지채비 형식으로 라인을 이어 그 말단에 바늘을 다는 등의 응용 채비를 구현할 때에도 두 가지 루프 매듭이 사용됩니다.
뿐만 아니라 빅게임 피싱에서 주로 사용되는 강하고 튼튼한 쇼크리더 연결에 있어서 비미니 트위스트 혹은 오스트리안 매듭법으로 P.E.합사 라인의 말단에 루프 매듭을 만들어 놓으면, 라인의 인장강도에 대하여 100%에 가까운 강도를 보장받으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쇼크리더를 체결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낚시를 계속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루프 매듭에 대한 필요성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루프 매듭은 익히는 것이 쉽지 않다는 어려운 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따라서 당장에는 쉬운 매듭법을 하나 정도 익혀놓고 터미널 태클 연결 매듭법처럼 상황에 따라 필요를 느낄 때 하나씩 더 배워나가는 방법을 따르시기 바랍니다.
우선 라인 중간에 고리 매듭을 만들 때 사용하는 드로퍼 루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매듭법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드롭샷 변형 채비를 만들 때 활용을 하는 등,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매듭법입니다.
그럼 사진을 통해 드로퍼 루프 매듭법을 응용한 드롭샷 채비 만들기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라인을 여유있게 바늘에 통과시켜 채비를 준비합니다. 이 때에 주의하실 것은 바늘의 방향입니다.
채비가 완성되었을 때, 라인 말단쪽을 바늘의 생크 즉 훅 포인트의 반대쪽이 향하고 있어야 하지만 채비를 만들기 시작할 때에는 이와 반대로 훅 포인트 쪽을 라인 말단으로 향하게 하여 라인에 통과시켜야 합니다.
바늘을 통과시킨 부분을 포함하여 라인을 크게 돌려 루프를 만들어 줍니다.
위 사진을 잘 보시면 이 루프를 만든 이후로는 바늘의 훅 포인트가 라인 말단의 반대 방향 즉 위를 향하게 됩니다.
바늘을 고리가 만들어지는 부위 즉, 라인이 교차한 부위 바로 옆을 짚어 드로퍼 루프를 체결하는 것과 동일한 요령으로 라인을 3번 정도 휘돌려 꼬아줍니다.
앞서 라인을 꼬아놓은 루프 안쪽으로 바늘을 통과시켜 드로퍼 루프의 고리 안쪽에 바늘이 위치하는 것처럼 만들어 줍니다.
라인 양쪽을 잡고 서서히 당겨주며 매듭을 조입니다. 이 때 루프가 양쪽으로 당겨져 완전히 펴지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십시오.
또한 라인이 열손상을 입지 않도록 물이나 침을 뭍혀주시고, 라인을 당기는 힘은 아주 천천히 조금씩 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라인을 완전히 당겨 조이면, 위 사진과 같이 바늘의 라인 아이 양 옆으로 매듭이 체결되며 단단하게 고정된 드롭샷 채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 어떠신가요?
혹 일반적인 드롭샷 즉 다운샷 채비와 큰 차이를 못 느끼시겠다고요?
이렇게 만드는 드롭샷 채비의 특징은 바늘이 원줄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라인 텐션이 유지되고 있을 때, 바늘이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고정된다는 점입니다.
물론 바늘이 조금 여유있게 움직이는 것이 자연스러운 액션에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쪽이 훅 세트가 용이하다는 등 기존의 방법과 차별화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스(대상어)의 활성도가 매우 예민한 경우가 아닐 때에는 보다 정확한 훅 세트를 위해 위와 같이 라인에 바늘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방법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자... 그럼 이번에는 드로퍼 루프 매듭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루프(고리) 매듭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우리에게 친숙한(정확하게 말하자면 대낚시 조사님들께 친숙한) 팔자매듭법과 비슷한 서전 노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매듭법은 고리를 만들어 그 안을 겹쳐진 라인을 통과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통과되는 라인을 몇 번 감는가에 따라 팔자매듭(2번)이 될 수도 아니면 서전 앤드 루프 매듭이 되기도 합니다.
뭐... 사실 방법론적으로는 동일한 매듭법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어떠한 것을 택하실 것인지는 여러분 각자에게 달려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어지간한 루프 매듭은 이렇게 팔자 매듭 하나만 알아놓으면 큰 어려움이나 곤란을 겪지 않으실 것입니다.
자... 그렇다면 이번에는 고리 매듭을 배웠으니 앞서의 드로퍼 루프와 방금 배운 고리 매듭을 모두 활용하여 배스(대상어)가 극도로 예민한 시기에 보다 유연한 액션으로 입질을 유도할 수 있는 드롭샷 변형 채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채비를 완성할 원줄에 드로퍼 루프 매듭법을 이용하여 고리를 만들어 놓고, 적당한 길이의 라인을 이용하여 라인을 연결하고 그 반대쪽에는 고리 매듭을 만들어 줍니다.
리더라인 말단의 고리를 원줄에 만들어 놓은 루프에 통과시키고 다시 바늘을 씌워주는 방법으로 두 개의 루프가 서로 엇갈리게 만들어줍니다.
이 때, 아직은 라인을 당겨 루프가 완전히 잠겨지게 하지 마십시오.
두 개의 루프(고리)가 맞닿은 상태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이렇게 두 개의 루프가 서로 겹쳐진 사이로 다시 바늘을 통과시킨 뒤 리더라인을 빼냅니다.
이는 루프를 두 번 꼬아 맞닿게 하려는 목적입니다.
근접 촬영을 하지 않아 위 사진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드로퍼 루프와 팔자 매듭으로 만든 루프는 서로 한 번 비틀어 꼬여지면서 맞닿아 있게 됩니다.
촛점이 잘 맞지 않았지만, 루프가 서로 맞닿은 부분을 근접 촬영한 사진입니다.
사진을 잘 보시면 두 개의 루프가 서로 감기면서 꼬여져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루프가 서로 꼬이게끔 만들어 놓으신 뒤, 원줄을 잡고 바늘쪽 라인을 서서히 당겨 루프가 서로 조여지며 매듭이 체결되도록 하시면 채비가 완성됩니다.
위 사진에서처럼 루프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면서 조이기만 하면 됩니다. 단, 이 때에도 마찰에 의한 열화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자... 이제 채비가 완성되었습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짐작하실 수 있겠지만, 이렇게 드롭샷 변형 채비를 만들게 되면 바늘이 원줄에 바로 직결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소프트 베이트의 액션이 보다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연출됩니다.
그런데 루프를 두 번 교차되도록 한 까닭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원줄에 만들어진 고리와 가지 바늘쪽 라인의 고리가 두텁고 단단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생각을 해 보십시오. 만일 루프를 꼬아주지 않고 단순히 한 번 감아돌린 뒤 당겼다면 루프 연결이 고정되지 않아 루프 연결점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것입니다.
그 결과 가지 바늘이 원줄에 좀 더 쉽게 감길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곧 채비의 트러블을 의미하게 됩니다.
따라서 루프를 여러번 꼬아주어 고리 매듭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만들어주면 가지 바늘의 유연성과 자연스러움은 유지하되 채비가 원줄에 올라앉거나 감기는 경우를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위 방법처럼 다소 번거롭더라도 루프를 교차하며 꼬아준 것입니다.
위와 같은 드롭샷 변형 채비는 배스낚시에서는 배스가 매우 예민한 상태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선상 바다 루어 낚시에서는 더욱 강력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그러니 지금 당장에는 이를 확실히 익히지 않는다 하여도, 배스들의 입질이 예민한 시기가 왔을 때나 선상 바다 루어 낚시에 출조를 하실 때에는 한 번쯤 이 채비 방법을 확인하고 익혀두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빅게임 피싱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미니 트위스트 매듭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께서는 어쩌면 낚시 채널 등의 바다 루어 낚시 관련 방송을 보시면서 채비 준비 과정에 라인을 손바닥으로 비벼 꼬아 놓은 뒤 라인의 고리를 무릅에 끼워넣고 당기면서 무언가를 만드는 장면을 보셨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바로 빅게임 피싱 등에서 P.E.합사 라인 말단에 미리 비미니 트위스트 루프를 만들어 놓는 것으로, 이렇게 고리 매듭을 체결해 놓으면 매듭 자체가 파열되지 않는 한 쇼크리더가 손상을 입었을 때, 바로바로 쉽게 리더 라인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위와 같은 비미니 트위스트 매듭은 매듭강도가 라인 본래의 인장강도에 최대한 가깝게 유지 가능한 방법으로 쇼크리더의 연결 시 다음 강좌에서 배우게 될 유카탄 매듭법과 함께 사용되어 튼튼하고 안정적인 라인 연결을 구현해 줍니다. (유카탄 노트가 아닌 올브라이트 노트를 이용하여 쇼크리더를 연결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물론 이 밖에도 단순한 루프(고리) 매듭이나 리더 라인 연결을 위한 루프 매듭에는 다양한 매듭법이 이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언급한 매듭법이면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기에, 이번 강좌에서는 많은 매듭법을 소개하지 않으려 합니다.
혹, 다른 매듭법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앞선 강좌에 언급된 사이트를 방문하여 서전 앤드 루프와 비미니 트위스트 이외의 매듭법을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 이번 강좌에서는 이렇게 루프 즉 고리를 만들기 위한 매듭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고리 매듭은 낚시 활동을 하면서 여러가지 용도로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는 요긴한 매듭법 입니다.
당장에 쇼크리더 연결을 위한 비미니 트위스트 매듭법은 필요치 않다 하여도, 최소한 팔자 매듭법 정도는 손에 익히셔서(익히기도 무척 쉽습니다.) 언제 어떠한 상황이라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번 강좌는 이쯤에서 마무리 하도록 하고, 다음 강좌에서 매듭법의 마지막 과정으로 라인과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매듭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함께 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꿉뻑!!!
'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스펜드 미노우 (0) | 2012.08.17 |
---|---|
[스크랩] 버즈베이트 (0) | 2012.08.17 |
[스크랩] 지그헤드리그 (0) | 2012.08.17 |
[스크랩] 루어낚시에서 사용되는 매듭법에 대하여... (3) (0) | 2012.08.17 |
[스크랩] 루어낚시에서 사용되는 매듭법에 대하여... (1) (0) | 201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