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계

부하에 따른 전선굵기, 차단기 용량, 접지선 굵기 산정 [

광심사 2014. 9. 19. 11:27

 

전선의 종류나 공사의 방법, 거리에 따른 전압 강하, 온도등 여러 조건에 따라 틀려질 수 있음.

정격전류: 해당 기기의 평상시 작동전류

허용전류: 해당 전선에 안전하게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

단락전류: 합선시 전류

부하전류: 부하에서 소비되는 전류

 

반드시 부하최대전류<차단기(분기차단기<메인차단기)정격전류<전선허용전류 이여야 한다.

(차단기정격은 부하의 1.25배이상 되어야 하고 전선은 차단기보다 1.1배 이상되어야한다.)

 


1.부하전류: 단상 P=V*I*역률 삼상 P=√3*V*I*역률
                단상220V: 1kW당 4.5A로 계산할것

                    삼상4선식380/220V: 1kW당 1.5A로 계산할것

 

 

2. 메인차단기(정격전류)용량

                   단상220V는 1kW당 6A로 계산됨

                   삼상380/220V는 1kW당 2A로 계산됨

 

3. 분기차단기(정격전류)용량: 단상에서는 1kW당 5A로 계산할것.

 

4.표이용 (CV2C,4C만 해당)

계약

전력

(kw)

전선

굵기

계약

전력

(kW)

전선

굵기

최대

전류

NFB/

ELB

정격

전류

용량

CV케이블(가공용)

허용전류A

단상

220V

삼상

380V

전선

굵기

2C

4C

2kW

2.5SQ

7kW

2.5SQ

12A

15A

2.5SQ

36A

32A

3kW

2.5SQ

9kW

2.5SQ

16A

20A

4SQ

49A

42A

5kW

4SQ

14kW

4SQ

24A

30A

6SQ

63A

54A

6kW

6SQ

18kW

6SQ

32A

40A

10SQ

86A

75A

7kW

6SQ

23kW

10SQ

40A

50A

16SQ

115A

100A

9kW

10SQ

28kW

16SQ

48A

60A

25SQ

149A

127A

11kW

10SQ

35kW

16SQ

60A

75A

35SQ

158A

158A

14kW

16SQ

47kW

25SQ

80A

100A

50SQ

225A

192A

19kW

25SQ

59kW

35SQ

100A

125A

70SQ

289A

246A

24kW

35SQ

71kW

50SQ

120A

150A

95SQ

352A

298A

29kW

35SQ

89kW

70SQ

140A

175A

120SQ

410A

346A

31kW

50SQ

94kW

70SQ

160A

200A

150SQ

473A

399A

35kW

70SQ

106kW

70SQ

180A

225A

185SQ

542A

456A

39kW

70SQ

118kW

95SQ

200A

250A

240SQ

641A

538A

49kW

95SQ

142kW

120SQ

240A

300A

300SQ

741A

621A

   삼상4선식380/220V이고 계약전력 72kW이상은 CT계량기 설치함.

 

 

5. 접지선 굵기=차단기(정격전류)용량*0.052

   표사용법 예시)

  차단기 용량  50A에서 접지선의 굵기는 50*0.052=2.6(즉4sq)

  차단기 용량 100A에서 접지선의 굵기는 100*0.052=5.2(즉6sq)

  차단기 용량 225A에서 접지선의 굵기는 225*0.052=11.7(즉16sq)를 선택합니다.

 

6. 전동기용 차단기 선정


   3상유도전동기 Y-△운전 

 1.전동기 명판에서 정격전류 확인, 없다면 명판의 마력(출력), 전압, 역률을 이용 정격전류 구함

    P=√3 VI COSθ   (1hp=746W) 

    예) 37kW,380V,3Φ일경우 37kW/380V*√3 *역률0.9(가정) =63A가 됩니다.


 2.전동기 정격전류를 이용하여 차단기 정격전류 및 전선 허용전류 구함


       직입기동 - 차단기는 전동기 정격전류에 3배이하로 합니다.

                         전선은 차단기 정격전류에 * 1.1배(50A이상), 1.25배(50A이하)로 합니다.


       와이 델타 - 차단기는 전동기 정격전류에 * 1.5~√3배정도

                          전선은 차단기 정격전류에 * 1.1배(50A이상), 1.25배(50A이하) /√3 입니다.

                          * 선전류가 2가닦으로 나누어 상전류가 전선에 흐릅니다.

 

       리액터 기동 - 차단기 와이델타와 거의 비슷하게 선정(TAP에 따라 다름)하면

                             되고 전선은 직입기동과 같습니다.

 

                                   *위에서 차단기 정격전류는 AT입니다.

 

 

                1)차단기는 기동시에  TRIP이 되지 않고 단락시 차단을 할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직입기동경우 배선정격의 250%와 MOTOR정격300%중 적은것)

                2)배선은 정격전류가 50A이상이면 1.1배, 50A이하이면 1.25배의

                   허용전류이상의 전선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3)모터 교체 설치후 전류가 정격 전류보다 많이 나온다면 어딘가에 좋지 못한점이 아직도 있습니다.

                   기기적 결함 의심 베어링,밸트,축,부하의 변동

                   그러나 아무리 봐도 고칠것이 별로 없다면 30분 정도 관찰하면서 사용하는 모우터에 열이 얼마나 나는지를 

                   계속 보고 뜨끈뜨끈할 정도를 넘어서 뜨거워서 손대기가 어려울 정도면 안됩니다. 

                   정격전류를 넘어가면 베어링이 잘나가더군요. 

                   모우터도 당장은 괜찮아도 잘 소손하고요

                4)모터 신규 설치후 전류치가 정격전류보다 많이 나온다면

                   모터 자체의 제품 불량--->A/S

                   부하의 과소 측정--->부하 조절 

                    

                5)절연저항의 기준은  150v 이하  - 0.1MΩ

                                                150v 초과 300v 이하 - 0.2MΩ

                                                300v 초과 400v 미만 - 0.3MΩ

                                                400v 이상 - 0.4MΩ 

 

 

 

 

 

 

 

예시1) 단상 220V의 용량이 10킬로라고 가정하면 10kW*5A=50A

           차단기는 50A를 선정한다.

 

예시2) 3상동력 380V의 용량이 10킬로라고 가정하면 10kW*1.7A=10.7

           차단기는 15또는 20A를 선정한다.

 

표사용법 예시1)

 

1. 한전계약전력 단상220V,  19kw일 경우 차단기는 2P, 125A를 선정하고 오른쪽의 허용     전류표 2c항목에서 16sq는 115이고 25sq는 149이므로 차단기용량보다 높은 35sq사용

2. 한전 계약전력 삼상380/220v, 59kw일 경우 4p, 125A를 선정하고 오른쪽의 허용전류표     에서 4c항목에서 25sq는 127이고 35sq는 158이므로 차단기용량보다 높은 35sq 를사용.

 

표사용법 예시2)

3상4선식 18kw일 경우 메인차단기는 40A, 전선 굵기는 6sq란 의미입니다.

 

표사용법 예시3)

단상 7kw일 경우 메인차단기는 50A, 전선 굵기는 6sq란 의미입니다.

 

 

그외 주의 사항

 

 

1.전선의 허용전류는 나라마다 기준이 다름니다.
동의 순도가 얼마냐에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경우에는 순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한단계 굵은 전선을 써줘야 하구요.
유럽등의 수입 전선은 우리나라 기준보다 한단계 높은 전류를 견딘다고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적용을 해보면 맞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하가 어떤거냐에 따라서 적절한 판단/결정이 필요하며 무조건 허용전류표대로 배선을하면 낭패를 보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전기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산과 견적  (0) 2014.10.14
실행가/시행가  (0) 2014.10.14
[스크랩] 기본단위 및 보조단위표  (0) 2014.07.25
[스크랩] 수트리란  (0) 2014.07.25
전선굵기와 차단기 선정방법  (0) 201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