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계

기성금/중도금외

광심사 2014. 10. 14. 14:09

1.기성금:우선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면..(공사에 국한 된것은 아닙니다.)그 프로젝트에 대한 계약을 하게 되지요 그계약서상 기간이 얼마이상일 경우 또는 계약기간이 길다면 중간산정하여 작업비를 지급하는 되는데 이것을 기성금 이라 합니다

기성 : 공사의 진척도 또는 진행 정도를 뜻합니다.
예시] 도급액 100,000,000 원에 대한 50% 기성율에 대한 기성금액은 50,000,000원
공사로 말씀 드리자면 우선 계약하면 계약금 즉 선급금을 신청하게 됩니다(모두 선급금을 주는것은 아니지만..)선급금을 받고 공사를 진행하다 일정기간이 지나면 기성금 신청서를 제출하고 이를 갑에서 인정할때 기성에 관한 산출 내역서를 작성 제출하게 되지요...이를 받은 기관에서는 기성검사를 실시해서 내역서의 내용과 맞는지를 확인하고 기성금을 지급하게 되는겁니다 .이때 선급금을 받았다면 선급금의 금액을 제한 나머지 금액만을 기성금으로 받을수가 있지요 .나머지잔액은 추가 기성 및 준공금으로 받는것이고요

 

2.중도금:부동산 따위의 거래에서, 계약금과 잔금 사이에 내입금(內入金)으로 치르는 돈.
출처:jiihoona

 

3.도급 : 원도급. 하도급. 위탁 기타 명칭여하에 불구하고 공사를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뜻합니다.

 

4.선급금 : 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기성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현재의 기성에 못 미치더라도 발주자(혹은 원도급자)로부터 미리 대금을 받아 공사를 수행하는 금액을 뜻합니다.

 

5.소화 : 공사도급계약에 있어서 소화란 의미는 소요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예로 지방자치단체 공사의 경우 기성금, 선급금, 준공금 등의 공사대금 수령시 지역개발공채를 소화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해당 공사대금의 일정한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지역개발공채를 매입하여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6.턴키 : turn-key 란 뜻으로 열쇠를 돌린다라는 뜻으로서 키만 돌리면 설비가 가동할 수 있다는 함축적 의미로서 시공사에게 설계, 시공 모두 일괄 위임함으로서 책임시공을 하겠금 맞추어진 공사 또는 입찰방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로 대형화, 복잡화,전문화된 공사에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턴키공사]
①기본설계도서가 있는 상태에서 진행
②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진행 예)주차건물 공사
턴키공사에 대한 소고
턴키입찰공사란 대안입찰공사와 마찬가지로 추정가격이 100억원이상인 공사중 년초에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또는 설계자문위원회)의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시 턴키입찰방법에 의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도록 결정되고 이에 따라 턴키입찰을 실시하여 체결된 공사이다.
턴키입찰제도는 정부가 제시하는 입찰기본계획 및 지침에 따라 입찰시에 그 공사의 설계서 기타 시공에 필요한 도면 및 서류를 작성하여 입찰서와 함께 제출하는 입찰방법으로서 설계·시공상의 기술능력 개발을 유도하고 설계경쟁을 통한 공사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며, 설계용역과 공사입찰을 통합하여 실시함으로써 계약상대자 선정에 소요되는 입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이다. 턴키입찰에 의하는 경우 입찰에 참가하고자 하는 자는 현장설명시 입찰안내서, 현장설명서등 입찰에 관한 서류를 교부받아 이를 기준으로 기본설계서와 그에 따른 도서를 작성하여 입찰서와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입찰 후 설계심의와 적격심사를 통하여 실시설계적격자로 선정된 입찰자는 실시설계서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서, 산출내역서등 관련서류를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또는 설계자문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설계변경과 관련한 턴키입찰의 특성은 발주기관이 교부하는 입찰안내서, 현장설명서를 제외하면 모든 설계서를 계약상대자가 직접 작성하여 제출한다는 점이다. 이는 발주기관이 모든 설계서를 작성하여 열람시키거나 교부하는 일반공사(총액입찰, 내역입찰등)와 구분되는 턴키공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 또한 턴키공사의 경우 발주기관이 예정가격을 작성하지 아니하므로 낙찰율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입찰방법의 경우와 구분된다 할 것이다.